시위, 항의로 점철된 홍콩 주권반환 15주년

시위, 항의로 점철된 홍콩 주권반환 15주년

입력 2012-07-01 00:00
수정 2012-07-01 15: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일은 홍콩의 주권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지 15년째가 되는 날이지만 이날 홍콩은 즐거운 축제 분위기라기보다는 시위와 항의로 점철됐다.

5년만에 홍콩을 찾은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 주석은 홍콩의 통치 정책인 ‘일국양제’(一國兩制·한 나라 두 체제) 원칙을 확인하며 ‘관용’과 ‘단합’을 강조했다. 그러나 후 주석의 홍콩 방문 중 후 주석에게 ‘시끄럽게 질문을 했다’는 이유로 취재 기자가 끌려나가는 일이 발생하는 등 홍콩의 ‘중국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홍콩 일간지 빈과일보의 혼 이유-팅(韓耀庭) 기자는 지난달 30일 홍콩 카이탁 크루즈 터미널을 둘러보던 후 주석에게 “후 주석, 홍콩인들은 6.4(톈안먼 민주화 운동) 사건의 재평가를 원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혼 기자는 경찰 통제선 뒤에서 소리쳐 질문했다.

혼 기자는 질문 직후 경찰에 끌려나갔으며 15분간 격리됐다가 후 주석이 터미널을 떠난 후에야 풀려났다. 경찰은 혼 기자에게 ‘너무 시끄럽게 질문을 해 소란을 일으켰기 때문’이라고 격리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경찰은 홍콩의 경제 발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똑같이 소리쳐 던진 기자에게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기자협회와 학계, 범민주계 정치인들은 이번 일을 언론 자유에 대한 공격으로 규정하면서 홍콩 경찰이 중국의 공안처럼 되어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막 인-팅(麥燕庭) 홍콩기자협회 회장은 “기자들은 내용과 분량에 상관없이 묻고 싶은 것은 무엇이든 물어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협회는 항의의 의미로 1일 예정된 거리 행진에 기자들의 참여를 촉구했다.

홍콩 언론계 대표와 편집장 등으로 구성된 ‘신문행정인원협회’와 홍콩 5개 대학의 언론 관련 학자들도 역시 경찰의 행동을 비난하면서 이번 일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

홍콩의 의회 격인 입법회의 보안사무위원회 주석(위원장)인 제임스 토 의원 역시 “해당 기자는 아무런 법도 어기지 않았다”면서 경찰이 권한을 남용했다고 비판했다.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도 이어졌다. 경찰은 지난달 30일 주권반환기념 축하공연이 열린 홍콩 전시컨벤션센터와 후 주석의 숙소 인근에 2m 높이의 차단벽을 세워 시위대를 차단했다.

물을 가득 채운 차단벽 속에 갇힌 시위대들은 후 주석의 숙소 호텔 밖에서 확성기를 통해 ‘6.4(톈안먼 민주화 운동) 사건을 재평가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시위대가 차단벽을 무너뜨리려 하는 과정에서 경찰은 최소 세 차례 이상 시위대에 최루액을 발사했으며 2명이 체포됐다 풀려났다.

주권반환 15주년 기념식과 신임 행정장관 취임식이 거행된 1일에도 시위가 계속됐다. 이날 오전 취임식과 기념식이 진행되는 동안 시위대들은 행사장 인근에서 렁춘잉(梁振英) 신임 행정장관의 초상화를 불태우며 “공산당과 끝까지 싸울 것”이라는 등의 구호를 외쳤으며 인근 골든바우히니아 광장에서는 국기 게양식이 거행되는 동안 수백명이 모여 “톈안먼 사건을 잊지 않을 것”이라고 소리쳤다.

홍콩 시민단체들은 시위대에 대한 경찰의 대응과 빈과일보 기자 사건 등과 맞물려 1일 오후 예정된 거리 행진의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합뉴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