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학교 급식 건강식 바꿨더니 쓰레기통 직행 급증

美학교 급식 건강식 바꿨더니 쓰레기통 직행 급증

입력 2014-04-03 00:00
수정 2014-04-03 1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로스앤젤레스 워싱턴 고교 3학년생 패리시 잭슨은 점심 시간에 학교 급식을 거의 손에 대지 않았다.

대신 급식을 쓰레기통에 버린 잭슨은 구내매점에서 치토스 스낵과 주스를 사 점심을 때웠다.

잭슨은 “살구는 너무 시고 칠면조 고기는 너무 맛이 없어서 못 먹겠다”고 말했다.

이렇게 먹지도 않고 버려지는 학교 급식 음식물은 로스앤젤레스 공립학교에서만 하루 10만 달러(약 1억580만원) 어치에 이른다.

1년이면 1천800만 달러(약 190억원) 어치의 음식물이 쓰레기통으로 사라지는 셈이다.

학생들이 학교 급식 음식물을 먹지 않고 버리는 이유는 맛이 없기 때문이다.

2012년 미국 연방 정부가 제정한 학교 건강 식단 급식법에 따라 반드시 채소와 과일을 포함해야 하는데 학생들은 채소와 과일을 대개 싫어한다.

2일(현지시간)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부인 미셸 오바마가 주도해 이 학교 건강 식단 급식법이 버려지는 음식물 때문에 위기를 맞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법률은 비만과 당뇨 등 만연하는 성인병을 미리 막고자 학생들에게 건강식을 먹이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하지만 이 법률을 지키자면 과일, 채소, 통곡물 등 비싼 식재료가 많이 들어가 급식 비용 자체가 커지는데다 학생들의 외면으로 버려지는 분량이 어마어마하다는 사실이 일선에서는 골칫거리가 됐다.

코넬대와 브리검영대 공동 조사에서 건강 식단 제공으로 재료비가 하루 540만 달러가 추가로 들어가는데 380만 달러 어치가 쓰레기통으로 들어간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3천100만명에 이르는 공립학교 학생 대상으로 시행되는 건강 식단 급식으로 버려지는 음식물은 미국 전체에서 연간 116억 달러(약 12조2천700억원) 어치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보스턴 지역에서는 학교 급식의 40%가 쓰레기통으로 직행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게디가 연방 법률은 학교 급식으로 제공된 음식물은 외부 반출을 금지하고 있으어 굶주리는 노숙인에게 남은 음식을 무상으로 나눠주는 등 재활용도 어려워 버리는 음식은 고스란히 예산 낭비로 이어진다.

50개주 가운데 48개주가 ‘미셸 오바마 법’의 가장 큰 취약점으로 지나치게 많은 음식물이 버려진다는 사실을 꼽았다고 1월 미국 의회 회계감사원은 지적했다.

이에 따라 5만5천개 학교 급식 공급업자 모임인 미국학교영양협회는 채소와 과일 제공 의무 규정을 폐지하라며 법 개정 로비에 착수했다.

이 협회 줄리아 보셔 회장 당선자는 “건강식 자체를 반대하는 게 아니라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학생들이 원하지 않는 음식을 강권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 교육청 학교 급식 담당국장 데이비드 빙클은 비싼 과일일수록 낭비가 심하다면서 “싫어하는 음식을 안 주면 버려지는 음식도 없을 것”이라고 과일과 채소 의무 제공 규정 폐지를 주장했다.

하지만 영양학자가 주축이 된 찬성론자들은 펄쩍 뛴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UCLA) 윌리엄 매카시 교수는 “싫어해도 계속 먹어야 한다”면서 “버려지는 과일과 채소는 우리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는데 드는 비용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하버드대 줄리아 코헨 교수는 “꼭 필요한 법률”이라면서 “특히 도시 지역 저소득층 학생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규정”이라고 법 개정을 반대했다.

찬성론자들은 버려지는 음식물을 줄이려고 채소와 과일 제공을 줄일게 아니라 학생들이 과일과 채소를 즐겨 먹도록 해야 한다고 다른 방향의 해법을 제시했다.

코헨 교수와 매카시 교수는 학생들에게 과일과 채소의 좋은 점을 꾸준히 가르치고 잘 먹으면 상을 주는가 하면 학교 뒤뜰에서 과일과 채소를 직접 기르는 등 흥미와 관심을 북돋워주는 방식을 권고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