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日, 과거 고쳐쓰려 해선 안돼” 고노담화 검증 비판

NYT “日, 과거 고쳐쓰려 해선 안돼” 고노담화 검증 비판

입력 2014-06-24 00:00
수정 2014-06-2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일본에 과거를 고쳐 쓰려 하지 말라며 고노담화 검증을 비판하는 사설을 실었다.

NYT는 22일(현지시간) ‘일본의 역사 눈가리기’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군(軍)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담화 작성 과정에 한일 정부 간 문안 조정이 있었다는 검증 보고서를 언급하면서 “경제 규모 세계 3위의 민주국가로서 일본은 과거를 고쳐 쓰려는 것처럼 보여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NYT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고노담화 검증을 지시해 전쟁 피해자를 부당하게 대하는 한편 편협한 민족주의적 정치집단에 영합해 일본에 해를 끼쳤다고 평가했다.

이어 “국가간 관계에서, 특히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라면 협의는 필수적(crucial)이고 대화가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한국인들에게 이번 검증 보고서는 일본이 사과를 진지하게 여긴 적이 없었다는 걸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NYT는 “일본 민족주의자들은 틀림없이 (한국에 대한) 사과를 철회하라고 정부를 압박하는데 검증 보고서를 활용할 것”이라면서 “이번에 아베 총리는 ‘(과거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잘못됐다는 점을 일본과 세계에 분명히 했다”라고 꼬집었다.

또 지금과 같은 아베 총리의 태도는 지역에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려는 일본에도 방해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NYT는 무력 분쟁 중 일어나는 성폭력에 국제사회가 점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금은 군 위안부 사안으로 일본이 문제를 제기하기에 특히 어색한 시점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NYT는 아베 총리의 동생 기시 노부오(岸信夫) 일본 외무성 부대신이 이달 런던에서 열린 국제회의에서 ‘성폭력은 범죄이며 가해자 면책 문화를 없애고 우리의 사고방식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 점을 상기시키며 사설을 맺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