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 국가 주가 상승률, 유지 국가보다 두 배 높아

금리인하 국가 주가 상승률, 유지 국가보다 두 배 높아

입력 2015-05-12 09:29
수정 2015-05-12 09: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세계적으로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완화 조치를 취한 주요 국가들의 주가가 그렇지 않은 국가보다 두 배 가까이 더 많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화완화 정책이 주식 등 주요 자산 가격을 부양하는 효과가 다시 한 번 입증됐지만, 자산 거품만 키울 뿐 실물경제 회복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관측도 적지 않아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세계 주요 15개국 증시 중 통화완화 조치를 취한 8개국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들은 올해 들어 평균 12.41% 급등했다.

이에 비해 기준금리를 동결하거나 인상한 6개국 증시 주가지수는 평균 6.85% 상승에 그쳤다.

이들 15개국 증시는 세계 증시 시가총액에서 비중이 1% 이상인 증시들이다.

15개국 중 올해 통화완화를 단행한 국가는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소속인 독일·프랑스·스페인과 중국, 인도, 호주, 캐나다, 한국 등이다.

이 중 중국 상하이종합지수가 올해 33.97% 뛰어올라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중국은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와 한 차례 지급준비율 인하에다가 후강퉁(상하이·홍콩 증시 교차거래) 등으로 강력한 주가 상승효과를 누렸다.

독일(DAX 30지수, 19.10%), 프랑스(CAC 40지수, 17.83%), 스페인(IBEX 35지수, 11.24%) 등 유로존 국가들도 유럽중앙은행(ECB)의 전면적 양적완화에 힘입어 주가가 두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한국 코스피지수도 9.49% 상승해 지난 3월 기준금리를 사상 최초로 1%대로 떨어뜨린 효과를 봤다.

이에 비해 기존 통화정책을 고수한 미국(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2.06%), 대만(가권지수, 3.83%), 스위스(SMI, 1.02%) 등의 주가는 한자릿수 상승에 그쳤다.

한편, 역시 기존 통화정책을 유지한 일본의 닛케이 평균주가(닛케이 225)는 12.44% 상승했다.

하지만 일본이 현재 본원통화 규모를 연간 80조 엔(약 728조원) 늘리는 강력한 양적완화 정책을 지속하고 있어 주가 상승도 통화완화 정책의 영향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를 세 차례나 인상한 브라질의 보베스파지수도 14.28%의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으나, 브라질 경제 불안의 여파로 작년 9월부터 연말까지 20%가량 급락한 데 따른 반등 성격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역시 기존 통화정책을 유지한 홍콩의 항셍지수도 17.42% 급등했지만, 중국 통화정책의 영향을 직접 크게 받는 홍콩 증시의 특수성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돼 기준금리 동결 또는 인상 국가 집계에서 제외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