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검토위, 에볼라 사태 대응 평가서 결론
세계보건기구(WHO)가 전염병 창궐과 같은 국제적인 보건 비상사태를 다룰 능력과 조직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지난해 서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창궐한 에볼라 사태에 대한 WHO의 대응을 평가한 재검토위원회가 내린 결론이다. 재검토위는 WHO 의뢰로 구성됐다.
바버라 스토리킹 옥스팜 전 회장이 이끈 재검토위는 보고서를 통해 “국제적인 전염병 비상사태를 다루기에는 WHO의 능력이 부족하다”면서 “WHO 회원국이 1억 달러의 신속대응 특별기금을 조성하고 WHO 내 긴급대응센터와 같은 조직을 설립해 재정비해야 한다”고 제안한 것으로 영국 BBC가 8일 보도했다.
재검토위는 특히 에볼라 발생 직후 초기대응의 미흡함과 느린 행동을 지적했다. 에볼라가 2013년 12월부터 확산되기 시작했지만 에볼라로 1000명 이상이 숨진 뒤인 지난해 8월에야 WHO가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발령했다는 지적이다. 발병부터 비상사태 선포까지 8개월이 지체된 원인에 대해 재검토위는 “WHO 내 신속한 의사결정 문화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발병 초기 전염병의 심각함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고위층에 닿지 않거나 고위층이 무시할 수준이었다는 것이다.
보고서에는 “WHO가 에볼라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과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WHO의 공적을 인정하는 내용도 담겼다.
WHO 조직의 비효율에 대한 비판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국경없는의사회’는 에볼라 발병 뒤 WHO의 느려 터진 대응을 여러 차례 지적했다.
마거릿 첸 WHO 사무총장도 지난 5월 “WHO가 에볼라 발병에 압도당했고 결과적으로 WHO 조직을 핵심부터 뒤흔들어 놓았다”며 초기 대응의 과오를 인정한 바 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07-0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