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회피’ 슐츠, 노조 결성 국면서 등판

‘노조 회피’ 슐츠, 노조 결성 국면서 등판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2-03-17 20:48
수정 2022-03-18 04: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임시 CEO… 노사관계 정리할 듯
“내 리더십, 勞 불필요” 언급 주목

이미지 확대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명예회장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명예회장
스타벅스를 세계 최대 ‘커피 제국’으로 일군 하워드 슐츠(68) 명예회장이 다시 경영 일선에 나선다. 16일(현지시간) WSJ 등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이날 케빈 존슨 최고경영자(CEO)가 다음달 은퇴를 위해 물러나고 슐츠 명예회장이 임시 CEO를 맡는다고 밝혔다. 이사회에 다시 합류한 슐츠는 노조 결성 움직임 속에 어수선한 경영을 안정시키고 정식 후임자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슐츠는 1987년 스타벅스를 인수해 급속한 팽창을 진두지휘했다. 2000년 CEO직에서 물러난 뒤 경쟁력 약화로 실적이 악화된 회사를 구하기 위해 2008년 복귀했고 존슨 CEO에게 자리를 물려준 2017년까지 회사를 이끌었다. 11개에 불과했던 스타벅스 매장은 슐츠의 지휘하에 77개국 2만 8000여개로 불어났다. 현재는 3만 4000여개에 이른다. 뉴욕 빈민가에서 태어난 그는 특유의 도전 정신으로 복사기 업체 제록스에서 판매왕에 등극한 뒤 1983년 이탈리아 노천카페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매장에서 원두 구입은 물론 커피도 마실 수 있게 하자”고 스타벅스에 제안했지만 거부당했다. 이후 스타벅스가 매물로 나오자 투자를 얻어 회사를 인수하고 잇단 제품 혁신으로 초고속 성장을 이뤘다.

슐츠가 노사관계를 어떻게 조율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스타벅스 뉴욕주 매장이 지난해 말 첫 노조를 결성한 데 이어 현재 100군데 이상 매장이 노조 결성을 추진하고 있다. 슐츠는 재임 시절 “내 리더십하에서 직원이 우려하는 바를 경청하고 해결해 주는 신뢰가 있다면 노조는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2022-03-1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