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이우 근처 육군시설에 함대지 순항미사일
바다서 깊은 내륙 공격…최대 연료시설 파괴

러시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 군사 기반시설을 겨냥하여 해안 방어용 지대함 미사일 체계 ‘바스티온’을 가동했다고 발표했다.
25일(현지시간) AFP,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고르 코나센코프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해상에서 ‘칼리브르 함대지 초정밀 순항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이 공격으로 우크라이나 육군의 연료 보급에 쓰고 있던 수도 키이우 인근 마을의 연료 저장시설이 파괴됐으며, 이는 연료시설 중 최대 규모로 알려졌다.
이날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중남부 도시 드니프로 외곽의 한 군사시설에도 미사일 2기를 직격했다. 건물이 파괴되고 화재가 발생해 우크라이나 구조대가 건물 잔해 속에서 생존자를 수색하고 있다. 렌틴 레즈니첸코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주 주지사는 SNS에 “심각한 파괴가 발생했다”고 호소했다.

경비 중인 우크라이나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교외의 불타는 창고 근처에서 우크라이나 병사 1명이 주변을 경계하고 있다.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는 Kh-555와 Kh-101 등 두 종의 순항미사일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로이터통신은 공중 발사 순항미사일의 일반적 실패율이 얼마인지는 직접 확인할 수 없지만, 전문가들에게 문의한 결과 실패율이 20%가 넘을 경우 높은 수준으로 간주한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이어 “이렇게 높은 실패율에는 발사 자체가 실패한 경우부터 목표를 맞추고도 폭발하지 않는 등의 사례가 모두 포함된 것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외곽 마을 이르핀에서 지난 5일 민간인들이 대피하는 모습.(사진=AP 연합뉴스)
우크라이나에서 피랍사건을 감시하고 있는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대변인은 구금된 이들 중 다수가 친우크라이나 성향을 공개하고 목소리를 내온 언론인이나 지역사회대표라고 BBC에 전했다. 러시아군이 점령지에서 저항에 직면함에 따라 납치나 구금 등 위협적인 수단을 통해 통제권을 잡으려고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크라이나 정치분석가 마티아 넬레스는 “헤르손 등 남부 지역에서는 체포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면서 “러시아군은 점령에 저항하는 사람들을 실시간으로 식별하면서 구금 명단을 실시간으로 작성하는 것 같다. 현지인들은 이를 지속적인 탄압 정책의 시작이 될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