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뒷편 착륙한 창어 6호 토양 채취 성공…오성홍기도 펼쳐

달 뒷편 착륙한 창어 6호 토양 채취 성공…오성홍기도 펼쳐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4-06-04 16:31
수정 2024-06-04 16: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중국국가우주국 산하 베이징우주비행통제센터(BACC)가 지난 2일 공개한 무인 달 탐사선 ‘창어 6호’의 달 뒷면 착륙 가상 이미지. 베이징 신화 뉴시스
중국국가우주국 산하 베이징우주비행통제센터(BACC)가 지난 2일 공개한 무인 달 탐사선 ‘창어 6호’의 달 뒷면 착륙 가상 이미지. 베이징 신화 뉴시스
지난 2일 달 뒷면에 착륙한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6호가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꽂고 달 토양을 채취해 귀환길에 올랐다.

4일 중국중앙(CC)TV는 국가우주국(CNSA) 발표를 인용해 “이날 오전 7시 38분(현지시간) 창어 6호가 달 뒷면 시료 2㎏가량 싣고 이륙했다”고 전했다. 창어 6호는 현재 예정된 달 궤도에 진입했고, 이달 25일쯤 지구로 돌아올 예정이다.

창어 6호가 무사히 귀환하면 달 뒷면 토양·암석 샘플을 가져온 첫 사례가 된다. 그간 달 표면 토양 수집은 10차례 이뤄졌지만 모두 달 앞면에서 진행됐다.

CCTV는 창어 6호의 핵심 임무인 ‘지능형 샘플 채취’ 과정에 대해 “달 뒷면의 고온을 견뎌낸 탐사선이 드릴로 시추하고 기계 팔을 이용해 샘플을 수집했다고 설명했다. 착륙선에 탑재된 카메라와 달 토양 구조 탐지기, 달 광물 스펙트럼 분석기 등도 정상적으로 작동해 달 표면 탐사가 예정대로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창어 6호가 달 뒷면에서 펼친 중국 국기 오성홍기. CCTV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창어 6호가 달 뒷면에서 펼친 중국 국기 오성홍기. CCTV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창어 6호는 이륙 전에는 신형 복합 소재와 특수 공정으로 제작한 오성홍기를 꽂았다.

중국은 전설 속 달의 여신 ‘상아’에서 이름을 따 2004년 3월부터 달 탐사 프로젝트 ‘창어 계획’을 시작했다. 창어 7호와 8호는 각각 2026년, 2028년에 발사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