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머리에 물고기 몸통”…기괴한 ‘종말 심해어’ 낚인 호주 바다

“말 머리에 물고기 몸통”…기괴한 ‘종말 심해어’ 낚인 호주 바다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4-09-25 13:47
수정 2024-09-25 1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일(현지시간) 호주 낚시전문방송 ‘피싱 오스트레일리아 TV’는 자국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멜빌섬 앞바다에서 심해 희귀 어종인 산갈치가 산 채로 잡혔다고 전했다. 2024.9.20 페이스북
20일(현지시간) 호주 낚시전문방송 ‘피싱 오스트레일리아 TV’는 자국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멜빌섬 앞바다에서 심해 희귀 어종인 산갈치가 산 채로 잡혔다고 전했다. 2024.9.20 페이스북


호주 바다에서 기괴한 심해어가 낚였다고 호주 데일리메일과 9뉴스가 25일(현지시간) 낚시전문방송 ‘피싱 오스트레일리아 TV’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낚싯배 선장인 커티스 피터슨씨는 지난주 호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멜빌섬 앞바다에서 보기 드문 물고기 한 마리를 산 채로 낚았다.

현지 매체들은 “머리는 말처럼 생겼고 몸통은 길쭉한 것이 물고기라기보다는 마치 외계 생명체와 닮았다”고 했다.

선장이 낚은 물고기는 수심 1000m 깊은 바다에 사는 심해 희귀 어종인 산갈치(Oarfish)였다. 호주에서 산갈치가 산 채로 잡히는 일은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낚시 평론가 알렉스 줄리어스는 “대부분 죽은 채로 해안에 떠밀려오는 산갈치를 누군가 산 채로 잡았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밝혔다.

성체의 경우 길이가 9m 이상에 달하는 산갈치는 지진 등 재앙의 전조라는 속설 때문에 ‘최후의 날 물고기’, ‘종말의 물고기’라고도 불린다.

앞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하기 전에 산갈치 20마리가 일본 해안에 떠밀려온 것이 알려지면서 이런 속설이 굳어졌다.

하지만 일본 도카이대와 시즈오카현립대 연구팀이 1928~2011년 사이 발생한 일본 지진과 산갈치 등 심해어 출현의 관련성을 분석해 2019년 발표한 바에 따르면, 관련 속설은 근거 없는 미신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미지 확대
20일(현지시간) 호주 낚시전문방송 ‘피싱 오스트레일리아 TV’는 자국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멜빌섬 앞바다에서 심해 희귀 어종인 산갈치가 산 채로 잡혔다고 전했다. 2024.9.20 페이스북
20일(현지시간) 호주 낚시전문방송 ‘피싱 오스트레일리아 TV’는 자국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멜빌섬 앞바다에서 심해 희귀 어종인 산갈치가 산 채로 잡혔다고 전했다. 2024.9.20 페이스북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