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당국 “시리아 지역안보에 더 큰 위협될 것”

美당국 “시리아 지역안보에 더 큰 위협될 것”

입력 2013-09-06 00:00
수정 2013-09-06 17: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변국에 군사개입 필요성 주장

시리아 공습을 두고 국제사회의 찬반이 엇갈리는 가운데 미국이 다시 한번 군사행동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조슈아 베이커 미 국무부 지역대변인은 5일(현지시간) 아제르바이잔 뉴스통신사인 트렌드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시리아 사태는 중요하고 간단하다”며 중앙아시아와 주변국의 지역안보에 “시리아 제재에 따른 위험보다 제재하지 않았을 때의 위험이 더 크다”고 주장했다.

베이커 대변인은 “미국은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정권이 지역과 주변국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신한다”며 “군사행동을 머뭇거리는 것은 시리아정권의 화학무기 사용을 용인해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인터뷰에서 시리아 난민에게 인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 사우디아라비아와 터키 등 주변국에 감사의 뜻을 표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시리아에 대한 군사제재를 주장해온 미국은 최근 시리아 공습을 두고 국제사회를 비롯해 국내에서도 반대의 목소리가 커지자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러시아를 비롯해 영국이 지난달 29일 하원이 시리아 군사 개입을 유엔조사단의 발표 이후로 미룬 데 이어 미국의 참전군인단체인 보트베츠(VoteVets.org)와 반전단체인 무브온(MoveOn.org)은 4일 각각 성명을 내고 군사개입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에 다급해진 미국 정부는 시리아 군사개입 당위성 전파에 애쓰고 있다.

척 헤이글 미 국방장관이 4일 의회에 출석해 시리아를 상대로 한 군사 행동에 따른 비용이 대략 수천만 달러 정도로 예상된다고 밝힌 데 이어 의회를 상대로 시리아 군사 개입 타당성을 설명해온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6일부터 이틀간 현재 유럽연합(EU) 의장국인 리투아니아와 프랑스, 영국을 찾아 군사개입을 위한 설득외교에 나선다.

한편, 민간인을 상대로 시리아 정부군이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의혹을 조사해온 유엔조사단은 3일부터 시리아에서 수집한 화학무기 사용 증거 샘플에 대한 분석 작업을 시작했다.

스웨덴 등지의 연구 시설에서 시작된 이번 분석작업은 공식발표까지 앞으로 수주가 걸릴 예정이다.

연합뉴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