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CIA 보고서 기밀해제
1970년대 후반 지미 카터 당시 미국 대통령이 주한미군 철수 결정을 백지화한 데에는 미 육군 소속 한 대북정보 담당 분석관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30일(현지시간) 밝혀졌다. 이는 비영리기관인 국가안보기록보존소가 중앙정보국(CIA)에 기밀 해제를 요청해 공개한 사례연구집을 통해 확인됐다.1976년 6월 23일 대선 경선 후보였던 카터는 주한미군 철수를 대선 공약으로 발표하고 취임 직후인 1977년 1월 26일 각 군에 철군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미 정보기관들이 당시 남한과 북한의 군사력이 비슷하다는, 오래된 정보에 따른 평가를 내려 철군 결정에 더욱 힘이 쏠렸다.
그러나 육군 산하 싱크탱크인 특별조사대 소속 존 암스트롱 대북정보 분석관의 생각은 달랐다.
암스트롱 분석관은 포기하지 않고 북한 군사력 정보 수집에 몰두했고, 1978년 5월 북한 지상군 병력 규모와 관련해 완전히 새로운 정보 평가를 담은 보고서를 정보기관들과 전문가들에게 제시했다. 그동안 북한군 편제표에 없었던 3개 사단과 1개 여단이 새롭게 확인됐으며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는 것이었다.
깜짝 놀란 정부는 즉시 특별팀을 꾸렸고, 1978년 10월 충격적인 내용의 ‘암스트롱 보고서’가 나왔다. 북한 지상군 병력 규모가 기존 45만명이 아니라 55만~65만명에 달하고 지상군 사단의 숫자도 28개가 아니라 41개에 달한다는 것이었다. 암스트롱 보고서는 1979년 1월 언론에 누출됐고 여론은 철군 반대쪽으로 돌아섰다. 결국 카터 대통령은 1979년 2월 상원 권고 형식으로 철군 보류 결정을 발표했하기에 이르렀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2014-12-0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