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체수 폭발한 미생물 광합성으로 산소과잉
약 20억년 전 지구상 대부분 생명체가 멸종됐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4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은 캐나다 북극지역인 벨처 제도에서 표본을 추출한 20억년 이상 된 고대 광물인 중정석을 분석한 결과, 당시 대기 중 산소 농도가 극단적으로 높아져 지구상 거의 100% 생명이 사라졌다는 결론을 얻었다.
논문에 따르면 수십억년 전에는 지구상에 미생물들만 살고 있었는데, 너무 많아진 미생물들이 광합성으로 산소를 과잉 생산했다. 결국 산소가 생성되는 데 필요한 영양분이 소진되고 대기 상황이 나빠지면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명체 총량이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했다.
연구에서는 이를 ‘대 산화 사건’으로 칭했는데 이 사건이 끝날 때쯤 생명체의 80~99.5%가 사라졌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논문 공동저자인 박사후보생 말콤 호지스키스는 “우리의 가장 보수적인 추정치도 약 6500만년 전 공룡 멸종 당시 죽은 생명체의 양을 초과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중정석에서 화학적으로 측정한 자료를 과거 연구에서 얻은 당시 대기 구성과 함께 계산해 이런 연구 결과를 얻었다. 호지스키스는 “이번 연구 결과가 지구상 어떤 것보다 오래된 사건에 관한 것이지만, 지구가 여전히 대기 변화에 취약하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CNN은 현재 해수 온도가 상승하는 것도 물 속에 얼마나 많은 영양분이 있느냐와 관계가 깊다면서, 해양에서 영양분이 넘치면 해저 생태계가 교란되며 지구 대기 산소의 절반 이상을 기여하는 광합성 유기체들도 위협을 받는다고 분석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