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미’ 시진핑 곁에는 문고리 6인방 있었다

‘방미’ 시진핑 곁에는 문고리 6인방 있었다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9-29 23:44
수정 2015-09-30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이번 미국 방문이 생중계되다시피 하면서 시 주석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는 ‘문고리 실세’의 모습도 확연히 드러났다. 중국 언론은 이들을 ‘시진핑의 그림자’로 불렀다. 그 첫 번째 인물로 부인 펑리위안(彭麗媛)이 꼽혔다.

●펑리위안, 패션 아이콘서 中인권 아이콘으로

펑리위안은 이번 방미에서 단순히 ‘패션 아이콘’에 머물지 않았다. 지난 26일 중국 퍼스트레이디 최초로 유엔 회의에서 연설하며 외교 무대에 데뷔했다. 2006년부터 보살피기 시작한 고아 소년과 9년 동안 이어 온 인연을 유창한 영어로 소개해 감동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앞으로 중국이 취약한 여성·아동 인권 문제의 전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왕후닝·리잔수 주임, 외교라인 좌청룡 우백호

시 주석의 ‘좌청룡 우백호’로 불리는 왕후닝(王?寧) 당 중앙정책연구실 주임과 리잔수(栗戰書) 당 중앙판공청 주임은 이번에도 시 주석의 옆에 늘 있었다. 왕후닝은 장쩌민, 후진타오에 이어 시 주석까지 보좌하는 중국 제1의 브레인이고 비서실장 리잔수는 시 주석의 분신이나 다름없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두 사람이 경제와 외교의 공식 라인까지 무력화할 정도로 국정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면서 “시 주석의 ‘이너서클 정치’가 정점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시주석 경호원, 부주석 때부터 호위무사

‘주석 경호원’도 방미 기간 내내 카메라에 잡혔다. 그의 이름과 직함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평상복 혹은 군복 차림으로 시 주석을 그림자처럼 따라다녔다. 시애틀에서 시 주석 부부에게 전달된 화환을 건네받은 것도 이 경호원이다. 그는 2012년 시 주석이 국가부주석 신분으로 미국을 방문했을 당시 소교(소령) 계급장을 단 군복 차림으로 시 주석을 경호했다. 지난 24일 시 주석이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했을 때는 중교(중령) 계급장을 단 군복 차림이었다.

●통역 쑨닝, 시진핑의 입과 귀

친강(秦剛) 외교부 예빈사(의전국) 사장은 외교 라인의 핵심 인물로 떠올랐다. 시 주석에게 미국 인사들을 소개하는 역할을 맡았다. 통역을 맡은 쑨닝(孫寧·34)은 양제츠 전 외교부장과 리커창 총리를 거쳐 지난해부터 시 주석의 영어 통역을 전담하고 있다. 시 주석의 또 다른 입과 귀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9-3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