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특파원 블로그] “중국, 조금도 작아질 수 없다” 판빙빙 등 스타들 포스팅 열풍

[World 특파원 블로그] “중국, 조금도 작아질 수 없다” 판빙빙 등 스타들 포스팅 열풍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6-07-14 23:12
수정 2016-07-15 01: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 앞장
동참 안 하면 ‘무개념’ 찍혀
美·日 향한 적개심도 노출

이미지 확대
네덜란드 헤이그의 상설중재재판소(PCA)가 중국의 남중국해 영유권 주장을 모조리 ‘불법’으로 규정한 지난 12일 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웨이보(중국판 트위터)에 중국 대륙과 남중국해의 암초들을 붉은 선으로 연결한 지도를 올렸다. 지도에는 ‘중국, 조금도 작아질 수 없다’(中國, 一点都不能少)’는 문구를 새겼다.

이후 중국 온라인에서는 ‘#一点都不能少#’ 물결이 일고 있다. ‘애국주의’에 불을 댕긴 건 슈퍼스타들이었다. 최고의 여배우로 꼽히는 판빙빙은 “이게 바로 중국이다! 조금도 작아질 수 없다”는 글과 함께 인민일보 웨이보를 포스팅했다. 류이페이, 황샤오밍, 야오천 등 300여 연예인들이 순식간에 포스팅 대열에 합류했다.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미쓰에이’의 페이와 ‘에프엑스’의 빅토리아, ‘피에스타’의 차오루도 동참했다. 애국주의 포스팅에 동참하지 않으면 ‘무개념 연예인’으로 낙인 찍는 분위기다. 인민일보 포스팅에 동참한 누리꾼만 300만명이 넘는다.

누리꾼의 반응은 대략 두 가지다. 첫째, 국가에 대한 믿음이다. 외국 언론은 “중국 외교 역사상 최악의 굴욕”이라고 평가하지만, 자국의 허술했던 대응을 비판하는 사람은 없다. 오히려 “불법 재판소의 쓰레기 판결문”이라고 일축한다. 판결을 반박한 2만자 분량의 국무원 백서가 인터넷을 도배하다시피 하고 있다.

둘째, 미국과 일본에 대한 적개심과 자신감이다. 누리꾼들은 미국이 1986년 국제사법재판소(ICJ)의 미국과 니카라과 간 분쟁 판결을 깡그리 무시한 사실을 상기하며 “너나 잘하라”라고 비난한다. 일본을 향해서는 “미국 뒤에 숨어서 약 올리지 말고 앞으로 나와 한판 뜨자”고 목소리를 높인다. 남중국해에서만큼은 미국과 일본이 협공해도 싸워서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이 팽배하다.

인터넷 여론이라서 극단적인 걸까? 평소 말수가 적던 대학원생은 “모든 나라가 다 등을 돌려도 우린 눈 한 번 깜빡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대학교수는 “애국주의가 아직 인터넷 밖으로 뛰쳐나가지 않는 것만도 다행”이라고 했다. 14억 중국인의 심장이 애국주의로 활활 타오르고 있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7-1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