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야 신화·AP 뉴시스
지난 5일 중국 하이난에서 열린 푸젠함 취역 행사에 참석한 시진핑(뒷줄 가운데) 중국 국가주석이 항공모함 갑판에서 장병들과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싼야 신화·AP 뉴시스
싼야 신화·AP 뉴시스
중국이 자체 설계하고 건조한 항공모함 푸젠함이 지난 5일 최남단 하이난에서 공식 취역하면서 ‘3항모 시대’를 열었다. 미국 항모 제럴드 포드함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푸젠함에 전자기식 사출기(캐터펄트)를 채택하도록 지시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날 행사에 직접 참여했다. 시 주석은 푸젠함에 올라 무거운 전투기를 수초 안에 빠르게 이륙시키는 전자 사출 단추를 눌러보며 “전투 능력을 끊임없이 향상해 푸젠함 전투력 건설에 기여하라”고 장병들을 격려했다.
랴오닝함, 산둥함에 이어 푸젠함까지 해상 작전에 투입된 중국 해군은 연안보다는 태평양 등 먼 바다 방어에 나서면서 미군이 주도하던 해양 질서를 뒤흔들게 됐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서방 해군이 100년 넘게 노력해온 기술을 중국은 자력으로 10년여 만에 완수했다”며 푸젠함의 전자기식 사출장치를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또 “3척의 항모를 순환 배치함으로써 전천후 타격·방어 체계를 구축했다”며 “중국 해군이 ‘해안 방어’ 중심에서 ‘원양 작전’ 체제로 전환했다”고 평가했다.
항모는 100년 전 영국이 처음 만들었고 현재 미국이 11척, 중국은 3척을 운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세계 2위 항모 보유 국가로 올라섰다.
다만 푸젠함의 취역으로 중국이 미국과 대등한 해군력을 확보했다고 보긴 어렵다. 우선 미 항모는 모두 핵추진 방식이어서 작전 반경이 사실상 무한대이지만, 푸젠함 등 중국 항모는 재래식 디젤 추진 방식이다. 또 만재 배수량 8만t인 푸젠함은 전투기 탑재 능력이 최대 60대로 알려졌지만, 만재 배수량 10만t 이상인 미 항모는 70대에 이른다.
중국은 2030년 취역을 목표로 핵추진 방식의 네 번째 항모를 랴오닝성 다롄조선소에서 건조 중이다. 2035년까지 모두 6척의 항모를 운용한다는 목표 아래 속도전을 펴고 있지만, 미국은 존 케네디함의 인도일이 3년 늦춰지는 등 기술 및 예산 문제로 항모 건조가 지연되고 있다.
2025-11-10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