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주 히로시마 민단 원폭 피해자 대책위원회 고문
“새까만 숯덩이 아이를 안고 흐느끼는 어머니, 여기저기 나뒹구는 화상 입은 시신들, 피투성이인 채로 휘청거리며 걷다가 쓰러지는 사람들, 화상을 입고 ‘아즈이, 아즈이, 다스케데구레’(뜨거워, 뜨거워, 살려줘)라는 처절한 비명….”
박남주 히로시마 민단 원폭 피해자 대책위원회 고문
1945년 8월 6일 오전 8시 무렵. 히로시마 시립여학원(중학교) 1학년이던 열세 살 소녀 박남주는 히로시마 서쪽 니시히로시마에서 전차를 타고 미야지마로 가기 위해 오오타강 쪽으로 향하고 있었다.
전차 안에서 하늘에 미군 폭격기가 보인다는 한 남자 승객의 목소리가 들리는 순간, 번쩍이는 섬광과 함께 폭음이 들렸고 불기둥이 이내 전차를 집어삼킬 듯이 달려들었다. 박남주는 순간 정신을 잃었다. “일어나 보니 주변이 안개 낀 듯 흐렸다. 한참만에 주변이 맑아지고 앞이 보이자 사람들이 모두 피투성이였다.”
시신이 널린 시내를 걸어나가 언덕에 올라 보니 시내 중심부는 아무것도 남지 않고 싹 사라져 버렸다. 건물들은 말 그대로 찢겨 나간 채 앙상한 골조만 남아 있었다. “그 순간을 생각하면 지금도 다리가 후들거릴 정도로 무섭고 떨린다”고 박 고문은 말을 이었다.
이날 피폭으로 머리가 찢기는 상처를 입었지만, 그는 일주일가량 시내에 있던 시신을 치우고, 화장하고, 정리하는 일을 도왔다. 동급생들이 시내 중심부에서 근로를 하다가 거의 몰살했다. 친척집에 가려고 길을 나선 게 그가 이날 피폭으로 사망한 2만명의 한국인에 끼지 않도록 도왔다.
피폭자로서, 한국인으로서 이중고를 겪어 왔던 박 고문은 요사이 많은 이들에게 무섭고 생각하기도 싫은 일에 대해 쉼 없이 얘기하고 있다. 히로시마시 산하 히로시마평화교육연구소 등이 주관하는 평화교육 강사로 참여해 일본과 세계 각지에서 현장 학습을 온 학생들과 교사들 그리고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원폭의 무서움과 실상을 알리고 교육하는 일을 하고 있다. “다시 전쟁이 없기 바라고, 원폭을 절대로 무기로 써서는 안 되고, 피폭이란 일이 다시는 없기를 기원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지금의 평화를 지켜야 하고 후세들이 교훈을 배우기를 희망하기 때문에 이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고문은 자신도 피폭자로서 유방암, 난소암 수술을 받으며 고통을 겪어왔지만 귀국한 한국인 피폭자들이 일본 정부로부터 피폭자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도왔다. 그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집도 사라지고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가족들이 살기 위해 발버둥쳤던 나날들을 회고하면서 “지난 70년 동안 나와 가족을 포함한 일본의 한국인들이 어떻게 생존해 냈는지 믿어지지 않는다”며 눈물을 글썽였다.
박 고문은 최근 아베 신조 총리의 헌법 개정 움직임 등과 관련, “평화가 길어지면서 평화가 얼마나 소중하고 전쟁이 얼마나 무서운지를 잊어버린 사람들이 생기기 시작한 것 같다”면서 “전쟁을 하기 위한 헌법 개정은 절대로 안 된다”고 힘줘 말했다.
글 사진 히로시마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2015-08-06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