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업무·항공기 운항 중단 등 혼란
“외부와 연결할 생명줄 없앴다” 비판

“더 이상 희망을 꺾지 말라”
탈레반 정권의 무분별한 여성 차별 정책에 항의하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 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는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 정권이 전국민 ‘인터넷 금지령’을 내렸다. 사전 예고 없이 휴대전화 서비스도 동시에 중단되면서 은행 업무와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는 등 아프간 전역에서 큰 혼란이 빚어졌다. 탈레반 정권은 “부도덕한 행위를 막기 위해서”라는 궁색한 이유를 내세웠는데, 아시아와 아프리카, 남미 등 전세계로 번지는 ‘Z세대 시위’ 등 반정부 시위가 촉발될 것을 우려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탈레반 정권은 지난달 29일부터 아프간 전역에서 인터넷과 휴대전화 서비스를 차단했다고 1일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인터넷 모니터링 업체 ‘넷블록스’는 전날 아프간의 인터넷 연결률이 1% 아래에 머물렀다고 발표했다. 앞서 탈레반 정권은 지난달 17일 하이바툴라 아쿤드자다 최고 지도자의 지시에 따른 조치라며 전국 34개 주 가운데 10개 주에서 우선적으로 인터넷 접속을 차단한 바 있다. 당시 아타울라 자이드 발크주 대변인은 엑스(X)를 통해 “이번 조치는 부도덕한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시행됐다”라는 입장만 냈다. 탈레반 정권은 전국민 인터넷 금지령 이후엔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올해 초 기준 아프간의 인터넷 이용자 수는 1320만명으로 전체 인구 4300만명의 30.7%에 달했다. 소셜미디어(SNS) 이용자 수는 400만명이 넘는다. 유엔인권사무소는 탈레반 정권의 조치가 인권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며 특히 여성과 소녀들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성 인권 단체인 ‘아프간 여성을 위한 여성’(WAW)의 사베나 쇼드리는 CNN에 “인터넷 차단이 수백만 명의 아프간인을 침묵시켰을 뿐만 아니라 외부 세계와 연결할 생명줄까지 없애버렸다”고 비판했다.
2025-10-0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