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고 아이들 목소리를 시인이 받아적었다

단원고 아이들 목소리를 시인이 받아적었다

입력 2015-12-18 01:11
수정 2015-12-18 01: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집 ‘엄마. 나야.’ 출간

시인들이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안산 단원고 학생들의 시선에서 남아있는 이들에게 쓴 시를 모은 시집이 출간됐다.

문학동네 임프린트 난다가 펴낸 시집 ‘엄마. 나야.’는 성미정, 박준, 이원, 이영주, 박형준 등 시인 34명이 각각 단원고 학생 34명의 목소리를 빌려 쓴 시를 엮은 책이다.

안산 와동에서 세월호 치유공간 ‘이웃’을 운영하는 정신과의사 정혜신과 심리기획가 이명수는 이 시인들에게 희생된 아이들의 생일에 맞춰 아이들 시선과 목소리로 시를 써달라고 청했다.

“아이들 부모님이 공통으로 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아이에게 잘 있다는 말 한마디만 들을 수 있으면 숨을 쉴 수 있을 것 같다’는 말입니다. (중략) 그래서 아이의 ‘생일시’에서 그 메시지가 어떤 방식으로든 부모에게 전달됐으면 하는 소망이 있습니다.”(청탁 메시지 일부)

학생들의 부모·형제, 친구, 선생님들은 아이의 생일에 맞춰 이 치유공간에 모였다. 아이에 관한 기쁘고 슬픈 기억을 떠올리며 때로는 울고 때로는 웃었다. 그리고 모임 마지막에는 참석자들이 시인이 보내온 ‘생일시’를 함께 읽었다.

시인들이 실제 아이들이 살아있을 때 만든 추억, 성격과 가족관계를 듣고서 써내려 간 작품은 아이들의 생전 사진과 어우러져 먹먹함을 더한다.

“여기서는 뺄셈만 배워요. 뺄셈은 아주 가볍죠./ 고통을 빼고 두려움을 빼고 안타까움을 빼면/ 내게는 추억들만 남아요. // 나는 매일매일/ 마술사처럼 ‘짠’하고 추억을 꺼내 보여요./”(2학년9반 김혜선·시인 김소연 ‘마음이 너무 많아서’ 일부)

“이곳은 생각보다 어둡지 않습니다./ 요즘 내가 하는 일은 매일매일 제일 먼저 태양을 만나는 일이에요./ 태양이 떠오르기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내가 제일 좋아하는 파란색의 세상이 펼쳐집니다./ 이곳에서도 나의 꿈은 깊숙한 곳까지 파랗게 반사되어 하루종일 일렁입니다./”(2학년6만 이영만·시인 이병률 ‘곧 봄날입니다’ 일부)

치유공간 ‘이웃’은 또 시인들이 응원의 뜻으로 추천한 시집을 생일 참석자들에게 선물로 나눠줬다. 이들은 ‘생일시’ 치유 프로그램을 앞으로도 이어갈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