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궁궐 활용 프로그램 사전행사
조선시대 해설·공연 ‘몰입형 탐방’영춘문 최초 개방 후원 자유관람
뉴시스
지난 10일 야간 궁궐 탐방 프로그램 ‘동궐동락’의 사전 행사가 열린 가운데 창경궁 명정전 앞에서 효명세자 역을 맡은 배우가 도화서 화원들에게 동궐도 제작을 지시하고 있다.
뉴시스
뉴시스
어둠이 짙게 내린 지난 10일 창경궁. 급격하게 추워진 날씨에 두꺼운 옷과 방한용품으로 몸을 꽁꽁 감싼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진흥원이 새롭게 선보이는 야간 궁궐 활용 프로그램 ‘동궐동락’의 사전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서다.
오후 6시 40분 대문인 홍화문을 지나자 은은한 조명이 켜진 궁궐의 정전인 명정전이 눈앞에 들어왔다. 궁궐 대문과 정전을 이어 주는 옥천교를 지나려는 데 조선시대 도화서 화원 복장을 한 사람 2명이 나타났다. 자신들을 시간 여행자인 ‘그림자 화원’으로 소개한 이들은 관람객을 조선시대 밤의 궁궐로 초대했다.
“옥천교를 건너는 순간 여러분은 단순한 관람객이 아니라 궁궐의 이야기 속 인물이 됩니다. 궁의 시간 속으로 한 걸음 들어가 보시죠.”
홀린 듯 명정전 앞에 당도하자 조선의 23대 왕인 순조의 하나뿐인 아들 효명세자가 나타났다. 순조의 건강이 나빠져 대리청정하게 된 효명세자는 “건물 한 칸도 빠짐없이 마치 하늘에서 내려다보듯 그려야 한다. 오직 사실만이 기록되어야 하니, 장식과 과장은 금물”이라며 화원들에게 ‘동궐도’를 제작할 것을 명한다. 효명세자는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동궐도 제작에 직접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궐동락은 경복궁의 동쪽에 있다고 해서 ‘동궐’로 불렸던 창덕궁과 창경궁을 무대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해설과 공연이 어우러진 몰입형 궁궐 탐방과 후원 자유 관람으로 구성됐다. 화원과 동궐도를 함께 그리는 설정으로 관람객들은 해설을 들으며 창경궁의 주요 전각을 둘러보고, 각 장소에서 관련 인물의 이야기를 재현한 소규모 공연을 감상하며 궁궐을 온전히 누리게 된다.
왕실 가족의 거주공간으로 지어진 환경전에서 종기로 고생하는 중종을 위해 의녀 장금이 ‘천금누로탕’을 올리는 장면을, 창경궁 내전의 으뜸전각으로 왕비의 침전, 왕대비의 생활공간으로 사용됐던 통명전에서 화평옹주가 죽고 나서 1년 후에도 딸을 그리워하는 영조를 만나는 식이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영춘문’을 최초로 개방해 눈길을 끌었다. 창덕궁과 창경궁의 경계에 있는 영춘문을 통해 창경궁에서는 소춘당지부터 대온실 권역을, 창덕궁에서는 부용지부터 애련지 권역을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최영희(64)씨는 “낮에 본 궁궐의 모습도 좋지만 밤에 보니 또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었다”면서 “걸어 다니며 해설만 듣는 게 아니라 작은 연극을 보며 관람할 수 있으니 한국인은 물론 외국인에게도 인상적일 것 같다”고 말했다. 동궐동락은 사전 예매자를 대상으로 오는 16일까지 하루 4회씩 진행되며 내년에도 계속될 예정이다.
2025-11-1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