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수경 기자
성명서 발표하는 문화유산 연관 학회, 협회 대표, 관계자들이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서울시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지키려는 최소한의 태도를 보여야 한다.”
12일 역사학, 고고학, 인류학 관련 30여곳의 학회와 문화유산 관련 협회가 세계유산 종묘의 하늘과 시야를 가리는 고층 개발 시도를 규탄하는 공동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성명서를 통해 “종묘 앞 고층 건물 배치는 종묘의 가치와 존엄을 훼손하는 행위이며 우리의 삶에서 역사적 전통과 기억을 제거하고 문화적 자존심에 상처를 주는 결과를 낳을 것이기에 이 무분별한 개발 행위에 적극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종묘 주변에 고층 건물을 배치해 경관을 훼손하지 말라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위원회의 권고는 결코 쉽게 넘겨 버릴 말이 아니다”라면서 “문화유산 주변의 고도 상향을 결정할 때 그것을 단순히 개발이익과 관련된 문제로만 생각해서는 안 되며 사회 전체의 과제로 생각하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이번 세운4구역 재개발 지역 고층 건물의 허용이 선례가 돼 5대 궁궐과 조선왕릉의 주변도 거대한 콘크리트 숲에 둘러싸일지 모른다는 우려는 더욱 심각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서울시에 종묘 인접 지역의 건물 층고 상향 규제 완화를 즉각 철회할 것, 관련 기관 및 전문가와 학술단체의 자문과 평가를 거쳐 기준을 새로 마련할 것, 종묘 경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고층 건물 인허가를 전면 중단할 것 등을 요구했다.
이성주 한국고고학회 회장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연구하는 여러 학회와 협회가 종묘의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처음으로 연대했다”며 “종묘의 엄숙함과 격조 그리고 열린 하늘을 지켜 내기 위해 공개토론, 현장검증, 제도 개선을 위한 공론의 장을 넓혀 가겠다”고 말했다.
한국건축역사학회 홍보이사인 이연경 연세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세계유산은 단순히 유형적인 건축물 하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 주변의 문화, 자연환경과 사람들의 삶까지 아우른다”며 “경관은 물론, 수도 한양이 세워지며 그 공간이 만들어진 맥락과 이야기도 모두 보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