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은 해방 70년이자 분단 70년, 그리고 한국과 일본이 외교 관계를 정식으로 맺은 지 50년이 되는 해다. 한반도를 둘러싼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을 앞두고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철학자이자 언어학자, 수학자, 그리고 문명비평가인 김용운 박사가 ‘풍수화’(風水火)를 펴내면서 반세기 동안 천착해 온 한·중·일 관계학을 집대성했다. 세 나라는 유교 문화, 한자 문화 등 폭넓은 문화적 동질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지형적 풍토, 역사적 경험은 서로 다르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 박사는 세 민족과 국가의 고대 원형을 분석해 그 원형의 발원체를 한국은 바람(風), 중국은 물(水), 일본은 불(火)로 비유하면서 세 나라의 과거와 현재를 조망한다. 한국은 인내천(人乃天), 즉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사상을 바탕으로 신바람을 일으키며 지내는 민족이다. 또 중국은 만리장성을 넘어 들어오는 이민족 등 다른 문명조차 중화(中華)라는 큰 틀에 녹여 버리는 융합적 원형을 품고 있다. 일본은 침략전쟁을 합리화하기 위해 내건 구호인 ‘팔굉일우’(八紘一宇·온 세상이 하나의 집안이라는 의미) 정신으로 모든 침략과 정복을 정당해 왔다. 세 나라가 갖고 있는 현실적 과제와 목표 역시 상이하다. 한국은 통일, 중국은 굴기, 일본은 자존심 회복이다.
김 박사는 서로 다름을 극복하고 문화와 문명의 창조성을 높일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 주장하는 부분은 한반도의 비핵화와 영세중립 통일이다. 영세중립화를 위한 최소한의 필수조건은 첫째 스스로 중립화를 유지할 수 있는 무력을 갖는 것, 둘째 주변국 모두가 중립화에 동의하고 협조하는 것이다. 서로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도 독식을 허용하지 않는 국제외교 조건은 중국과 러시아, 미국, 일본 등을 모두 설득할 수 있다는 자신감 있는 전망으로 이어진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4-12-1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