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다르게 변해 가는 정보시스템의 발전상과 변화 속도는 이른바 ‘감시 사회’의 어두운 미래를 더욱 가깝게 느끼게 한다. 얼마 전 발생한 이른바 ‘카카오톡 사찰’은 그 전조 현상의 아주 미미한 부분일 뿐이란 관측도 있다. 조지 오웰 소설 ‘1984’ 이래 끊임없이 제기돼 온 빅 브러더의 끝은 어디이고, 그 돌파구는 무엇일까.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검색되지 않을 자유’는 지식인들이 한결같이 예고하는 강도 높은 ‘감시 사회’의 전망과 해결책을 함께 짚어본 책으로 눈길을 끈다. 빅 데이터 기술로 끝 모르게 정교해져 가는 정보자본주의에의 경고와 함께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를 정리했다. 철학과 사회학, 신경생리학, 건축공학, 전자·정보통신공학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분석해낸 ‘빅 데이터 시대’의 개괄서인 셈이다.
정보자본주의란 지식과 인지가 부의 원천이자 중심이 되어가는 새로운 경제구조를 말한다. 책은 그 체제에서 탁월하게 통제 가능한 자원으로 전락하는 인간의 존엄을 지켜내고 공통으로 자율을 유지,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다.
정보자본주의가 길러낼 인간을 ‘호모 익스펙트롤’(기대와 조정이 가능한 존재)로 명명한 저자가 제시하는 돌파구는 무엇일까. 책에서 그 방식은 의외로 다양하게 제시된다. 이를테면 지금의 ‘시각 중심주의 폭력’에서 벗어나자는 것이다. 기존의 소리 체계에서 이탈하는 노이즈를 만들어 빅 데이터의 포위를 돌파하는 시도로 볼 수 있다. 특히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데이터가 지워져 ‘호모 익스펙트롤’을 양산하는 검색 시도를 근본적으로 막는 ‘시한부 데이터’의 가능성 대목이 흥미롭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4-12-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