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공공기관 지방시대

[커버스토리] 공공기관 지방시대

입력 2014-05-31 00:00
수정 2014-05-31 04: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민들 지역발전 기대 ‘흥분’… 직원들 기반시설 부족 ‘한숨’

“부장님, 서울지사 출장 업무를 마치고 울산 본사로 돌아갑니다.”

수도권에 쏠렸던 공공기관 직원들이 전국 10곳의 혁신도시로 이전하면서 줄줄이 지방시대를 맞고 있다.

30일 국토교통부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전국 10곳의 혁신도시(세종시 제외)로 이전할 115개 공공기관 가운데 현재 32곳이 새 둥지에서 업무를 시작했다. 65곳은 연내, 18곳은 내년까지 이전한다. 여기에 발맞춰 혁신도시들도 평균 공정률 99.6%를 보이며 새 식구들을 맞을 채비에 바쁘다. 부산·광주·전남·전북·경북·제주가 부지 조성을 끝냈다. 대구(99.9%)와 경남·강원(99.7%), 울산(99.4%), 충북(98.9%)도 막바지다. 신청사와 산업단지, 아파트, 상가 등이 들어설 혁신도시 부지 분양률도 79.4%로 순조롭다. 국토연구원은 공공기관 이전을 마치면 13만 3000개의 일자리 창출, 연간 9조 3000억원 생산 유발 효과, 연간 4조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를 볼 것으로 전망했다. 연간 수조원의 예산을 집행하고 연관 산업을 이끌 공공기관 이주에 대해 지역 주민들의 기대는 눈덩이처럼 커진다. 울산의 원도심인 중구는 4개 공공기관 이주로 옛 명성을 회복할 기회를 만났다. 대형 백화점이 2018년 문을 열고, 호텔 건립도 유력하다. 울산 혁신도시의 파급 효과는 연간 총생산 9120억원, 부가가치 4202억원, 고용효과 4927명으로 분석됐다.

과제도 만만찮다. 가족을 두고 온 ‘나 홀로’ 이주가 90%나 된다. 일터만 옮겼지 근무 여건을 뒷받침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도로와 가로등 등 기반시설과 병·의원, 약국, 음식점, 상가 등 편의시설도 턱없이 부족하다. 대중교통도 없어 먼 거리를 걸어 다녀야 하는 실정이다. 자족도시의 성패를 가를 산업용지 분양 실적도 낮다.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 분양률은 평균 15%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2014-05-3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