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그룹이 새 시대를 맞이해 새 모습으로 태어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지난 3월, 신한금융그룹 조용병 회장은 취임사에서 “아시아 리딩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해 ‘2020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히며 프로젝트 달성을 위한 4대 경영목표 중 하나로 ‘디지털 신한’을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조용병 회장은 신한금융그룹을 아시아 리딩그룹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글로벌 수준의 역량 확보가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조용병 회장은 신한금융그룹을 아시아 리딩그룹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글로벌 수준의 역량 확보가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 신한’으로 신한금융그룹을 업그레이드하여 고객의 가치를 제고하고 직원들이 보다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하게 하여 생산성 혁신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과정으로 고객 경험 개선, 상품·서비스 혁신, 영업·마케팅 디지털화, 사업 운영 개선, 리스크 최적화, 혁신적 사업모델 구축 등 6가지 영역을 중점적으로 업그레이드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조 회장은 새로운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만들고 그룹 내의 DT(Digital Transformation)를 한 단계 도약시키기 위해 디지털 경쟁력 강화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디지털 경쟁력 강화 TF는 주요 추진 영역을 ‘Two Track Plus Ten’으로 분류하고 ‘기존 비즈니스 모델의 전환(Transformation)’, ‘파괴적 혁신(Disruptive) 모델의 대응 및 구축’을 큰 추진 방향으로 잡았다.
신한금융그룹은 지난 4월 글로벌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수준의 디지털 역량 확보가 최우선이라고 판단했다. 이후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과 협력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했으며 지난 6월 말 아마존과 디지털 혁신을 위한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신한금융그룹과 아마존은 금융 혁신을 위해 양사가 서로 협력하기로 했고 올해 안에 별도의 협의를 통해 인공지능(AI),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차세대 디지털 기술 적용을 위한 로드맵 구상을 마친 후 앞으로 3~5년간 적용 대상 및 규모를 논의할 예정이다. 이뿐 아니라 아마존 클라우드 교육 과정을 통한 디지털 인재 양성과 해외진출법인의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도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 4월 말에는 고려대와 협약을 통해 고려대의 디지털 이론과 신한금융그룹의 금융 실무를 결합한 국내 최초의 디지털금융공학 석사 과정을 개설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그룹 내 18대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뚫고 30명의 1기 수강생을 선정하기도 했다.
또한 2만 7000여 임직원 전원을 ‘디지털 전사’로 육성하기 위해 디지털 교육예산을 전년 대비 10배 이상 증액하고 사내문화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하는 등 큰 변화를 이룩하고 있다.
연제성 인턴기자
2017-07-18 4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