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옆 셀카도 아무런 제지 없어 ‘열린 경호’

대통령 옆 셀카도 아무런 제지 없어 ‘열린 경호’

입력 2017-05-10 22:42
수정 2017-05-10 2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통령이 온 거 맞아?’

10일 오전 국회 본청. 문재인 대통령의 야당 지도부 방문 및 취임 선서를 보기 위해 몰려 있던 기자들이 웅성거렸다. 통상 ‘VIP’(대통령을 지칭하는 경호 용어)가 오면 휴대전화가 끊기고, 청와대 경호실에서 대통령 동선을 따라 주위를 철저히 차단하던 것과는 달리 이날 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의 코앞까지 별도의 ‘비표’를 받지 않은 기자들이 접근해도 경호팀에서 아무런 제지를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文대통령, 시민들에게 먼저 다가가

문 대통령이 국민과의 소통에 방점을 둔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선언하면서 청와대의 대통령 신변 경호 역시 달라지는 분위기다.

문 대통령이 취임식을 마치고 국회 본관 앞 잔디밭으로 나오자 지지자들이 몰려들어 플래시를 터뜨렸고, 문 대통령의 차량 탑승 직전에는 한 참석자가 대통령 곁에서 ‘셀카’를 찍었지만, 경호실 직원들은 별다른 제지를 하지 않았다.

오히려 문 대통령은 선대위 대변인을 맡아온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의원의 만류에도 정해진 동선을 벗어나 시민들에게 다가서기도 했다.

●취재인력 제한 없이 언론 접근 자유

언론의 접근도 자유로웠다. 문 대통령이 국회에서 야당 지도부를 만나는 과정도 취재 인력 제한 없이 모두 공개되고 TV 생중계도 가능했다. 해프닝도 빚어졌다.

문 대통령이 국회 바른정당 대표실에서 주호영 대표 권한대행을 면담하던 중 ‘불쑥’ 면담장에 들어온 이종구 정책위의장이 문 대통령에게 다가가 악수를 청한 것이다. 보통 대통령 경호 및 의전에서 벗어났지만 문 대통령은 자리에서 일어나 반갑게 맞았다.

이는 문 대통령이 후보 때부터 한결같이 내세우는 ‘광화문 대통령’ 구상에 따른 변화로 해석된다. 집무실을 ‘구중궁궐’에서 광화문 정부청사로 옮긴다는 계획에서 보듯 시민과의 소통을 강조하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경호 방식에도 반영됐다는 평가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7-05-1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