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의원만으로 한계… 위원장·원내대표 분리론에 조기전대론까지
윤곽 이르면 오늘 나올 듯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비대위 구성이 임박했지만, 여전히 ‘안철수 이후’에 대한 고민은 깊은 모습이다. 박 비대위원장은 4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비교적 당을 잘 아는 원내외 당내 인사 중심으로 인선해 출범시키고, 2차로 외부 인사를 추가 영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첫 비대위원 인선은 이르면 5일 이뤄질 전망이다.
1차로 꾸려질 비대위원 면면은 안철수 측 인사들이 빠지고 호남 지역구 의원들이 다수 포함될 것이란 전망이 대체적이다. 당 관계자는 “기존 최고위원회에 비례대표가 다수 포함돼 지역 사정을 잘 모른다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임시 지도부가 호남 의원 다수로 꾸려지는 것도 확장성 측면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박 비대위원장이 계속 외부 인사 영입을 거론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여기에 박 비대위원장과 다른 호남 의원 간에 미묘한 긴장감이 형성된 것도 변수다. 정동영 의원 등을 중심으로 나온 비대위원장·원내대표 분리론은 양측의 긴장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결국 비대위 구성이 마무리되면 박 비대위원장은 원내대표직을 다른 의원에게 넘기거나, 외부 인사를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고 자신은 원래대로 원내대표를 유지하는 방안 등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 비대위원장이 원내대표직을 선택하면 다음 전당대회 때 당권에 도전할 수도 있다.
이처럼 비대위는 표면적으로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 사퇴 이후 당을 수습하는 역할을 하지만, 그 이면에는 향후 당권을 둘러싼 당내 역학구도가 담겨 있을 수밖에 없다. 앞서 최고위·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조기전대론이 나왔던 것도 현재의 ‘박지원 원톱’ 체제를 견제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박 비대위원장이 계속해서 “당의 얼굴은 안철수”라고 강조하는 이유도 호남 그룹의 ‘박지원 견제’를 의식해 안 전 대표와의 끈을 놓지 않으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한편 박 비대위원장은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제자 인건비 착복 의혹을 받는 현대원 청와대 미래전략수석에 대해 “대한민국 미래와 박근혜 대통령의 창조 경제를 위해서라도 당장 사퇴하라”고 주장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6-07-0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