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 ‘특정문구’ 싸고 선언문 ‘진통’… 朴대통령 “비 온 후 땅 굳는다”

[한·중·일 정상회의] ‘특정문구’ 싸고 선언문 ‘진통’… 朴대통령 “비 온 후 땅 굳는다”

강병철 기자
입력 2015-11-01 23:28
수정 2015-11-02 04: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상회의·만찬 이모저모

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된 한·중·일 정상회의는 회의가 끝난 뒤에도 공동선언문을 즉각 발표하지 못하는 등 상당한 진통을 겪었다. 회의 개최 전에 이미 공동선언문 발표를 예정한 데다 통상 정상회의 전에 실무진 차원에서 선언문 내용을 조율하는 것을 감안하면 정상 간 다소 이견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특히 회의에서는 역사 문제 관련 선언문의 특정 문구를 둘러싼 중·일 간 의견 대립이 만만치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3국 정상회의는 예정대로 오후 2시쯤 시작돼 1시간 30분가량 진행됐다. 회의장에는 대형 삼각형 테이블이 마련됐으며 3국 정상은 삼각형 각 변의 중앙에, 그 옆으로 각국 정부 관계자들이 배석했다.

의사진행을 맡은 박 대통령은 “오늘 회의를 통해 경제사회 지속 가능한 개발, 인적 문화 교류와 같은 여러 분야에서 국민들에게 도움을 주는 성과사업에 합의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 순으로 발언이 이어졌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그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으로 갈등을 빚었지만 이날은 서로 미소를 머금고 악수를 주고받았다. 공동 기자회견 후에는 박 대통령이 먼저 아베 총리에게 다가가 악수를 청하는 모습도 보였다.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만찬에는 한·중·일 3국의 전통회화에 정보기술(IT)을 결합시킨 미디어 아트 작품들이 전시됐다. 또 3국의 어린이들이 청사초롱을 들고 ‘도라지타령’, ‘후루사토’(故?), ‘모리화’(茉莉花) 등 각국을 대표하는 노래를 부르며 만찬 시작을 알렸다. 박 대통령은 만찬 건배사에서 “‘비 온 후 땅이 굳는다’는 격언은 3국에서 비슷하게 쓰이고 있다. 우리의 노력으로 3국 간 신뢰와 협력의 관행을 비 온 뒤의 땅처럼 굳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만찬 주식은 비빔밥이었으며, 초밥과 딤섬이 곁들여졌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5-11-0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