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감초 첫 개발… “약효·수확량 2배”

국산 감초 첫 개발… “약효·수확량 2배”

입력 2014-07-11 00:00
수정 2014-07-11 04: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진청 박춘근 박사팀

“신토불이 감초 종자를 개발해 중국산 수입량을 줄이고, 농가 생산량도 2배 이상 늘릴 수 있게 됐습니다.”

이미지 확대
농진청 박춘근 박사
농진청 박춘근 박사
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에 근무하는 박춘근(53) 박사와 연구팀은 국내 최초로 한약재인 감초의 신품종 ‘원감’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감초는 단맛을 내고 다른 약재와 배합이 잘 돼 한약 처방에 90%가량 쓰이고 있지만 그동안 국산 품종이 없어 1997년 중국에서 들여온 만주 감초로만 재배됐다.

국내 감초 생산량은 2012년 기준 386t으로 자급률이 5%에 불과해 연간 2000t(375만 3000달러)가량의 감초를 수입하고 있다. 연구팀은 지난 9년 동안 국산 감초 개발에 매달렸고 만주 감초의 단점을 보완한 원감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원감은 줄기가 굵고 뿌리 수가 많아 10a당 수확량이 359㎏으로 만주 감초보다 2.3배나 많다. 박 박사는 “감초 농가의 연평균 소득이 재배면적 300평당 250만원 수준인데 내년부터 원감을 보급하면 생산량이 늘어 농가 소득이 증가하고 수입 물량도 대폭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원감 품종은 감초에 들어 있는 약효 성분인 글리시리진 함량이 3.96%로 만주 감초(1.9%)의 2배다. 글리시리진은 암을 예방하고 노화 방지는 물론 알레르기, 궤양을 막는 효과가 있어 연구팀은 의약품과 기능성 식품으로도 개발할 계획이다.

박 박사는 1992년 농진청에 입사해 22년간 약용작물 연구에만 전념해온 ‘약초 박사’다. 박 박사는 “약용작물 유전자원이 800종 이상인데 건강에 도움이 되고 수출도 할 수 있는 신품종을 개발해 농가 소득을 올리고 자유무역협정(FTA)에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7-1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