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의원 “5·18은 폭동, 유공자 빨갱이” 카톡문자 물의

경기 고양시의원 “5·18은 폭동, 유공자 빨갱이” 카톡문자 물의

입력 2015-08-11 11:39
수정 2015-08-11 1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월 단체, 고양시의회 김홍두 의원 사퇴 촉구

경기도 고양시의회 한 의원이 5·18 민주화운동과 유공자를 폭동, 빨갱이 등으로 매도한 카카오톡 문자메시지를 유포해 물의를 빚고있다.

5·18 단체들은 11일 5·18 민주화운동과 유공자를 폭동, 빨갱이 등으로 폄훼한 새누리당 소속 김홍두 고양시의원의 사퇴를 촉구했다.

5·18 3단체(유족회,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장와 차명석 5·18 기념재단 이사장은 이날 고양시청을 방문, 최성 고양시장과 이하우 시의회 부의장, 김홍두 시의원을 면담하고 김홍두 의원이 모바일 메신저(카카오톡)로 동료 의원들에게 5·18 등을 폄훼하는 내용의 메시지를 유포한 데 대해 항의했다.

5·18 단체들은 “김 의원은 최근 새정치민주연합, 정의당, 무소속 시의원 등 17명을 단체 카톡에 초대해 ‘5·18 폭동자가 (보상금으로) 1인당 6억∼8억 원을 받았다’, ‘폭동해야 대박나는 참으로 X같은 종북세상’는 등의 글을 올렸다”고 밝혔다.

5·18 단체들은 “5·18로 연행, 구속, 사망한 관련자들의 보상금은 1인당 평균 4천400만원으로, 김 의원의 주장은 억지로 꾸며낸 거짓 수치”라고 강조했다.

또한 “김 의원은 ‘나라가 빨갱이 보상으로 망하기 직전’이라며 5·18을 폭동으로, 5·18 유공자를 빨갱이로 매도했다”며 “김 의원의 소행은 국회에서 제정되고 대법원 심판을 통해 역사적으로 검증된 5·18을 왜곡하는 것이자 국회와 사법부에 대한 도전행위”라고 주장했다.

5·18 단체들은 “역사적 사실도 분간 못하고 허위사실을 검증없이 무차별 배포한 김 의원이 어떻게 고양시민의 민의를 대변할 수 있는지 의심스럽다”며 스스로 망언에 책임을 지고 자진사퇴할 것을 촉구했다.

5·18 단체들은 고양시의회의 조치와 새누리당의 입장 표명 여부 등을 지켜보며 법률대응 등을 해나갈 방침이다.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6일 부천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및 제26회 대한민국오늘문화대상’ 시상식에서 광역의정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은 사단법인 대한민국연예예술인연합회(총재 남상숙, 이사장 황계호), 한국언론대표자협의회, 대한모델협회 등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을 실천해온 인물을 정례적으로 선정해 시상하는 행사다. 조직위원회는 박 의원이 지역 현안을 직접 챙기며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일상생활에 밀접한 교통체증 해소, 급수 환경 개선을 비롯해, 교육·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 주민 체감도를 높였다는 점이 수상 배경으로 꼽힌다. 또한 저소득·다문화 아동을 위한 영어교실 출범을 위한 민·관 협력을 주도하고, 장애인 대상 나눔 행사 지원,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동행플라자 유치 등 지역 기반의 사회공헌도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박 의원은 “2년 연속 수상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곳곳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고, 자원봉사와 사회공헌의 가치를 실천하는 의정활동으로 서울시와
thumbnail -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