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2일 북한 금강산에서 그리운 혈육을 만나게 될 우리 측 이산가족 394명의 명단이 지난 15일 공개됐다. 그들의 안타까운 사연들도 누렇게 빛바랜 사진과 함께 전해졌다.
이미지 확대
① 경북 문경에 사는 이옥연(87)씨는 북에 사는 남편 채훈식(88)씨를 65년 만에 만난다. 이 사진은 1949년 부부의 결혼식 장면. 남편은 이듬해 6·25전쟁이 터지고 두 달 만에 징집돼 전쟁터로 떠났고 이후 두 사람은 다시는 보지 못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①
경북 문경에 사는 이옥연(87)씨는 북에 사는 남편 채훈식(88)씨를 65년 만에 만난다. 이 사진은 1949년 부부의 결혼식 장면. 남편은 이듬해 6·25전쟁이 터지고 두 달 만에 징집돼 전쟁터로 떠났고 이후 두 사람은 다시는 보지 못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② 이옥연씨가 남편과 헤어지고 아들 채희양(66)씨와 찍은 사진. 아들 채씨는 이번에 어머니를 모시고 생전 처음 보는 아버지를 만나러 간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②
이옥연씨가 남편과 헤어지고 아들 채희양(66)씨와 찍은 사진. 아들 채씨는 이번에 어머니를 모시고 생전 처음 보는 아버지를 만나러 간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③ 안순란(오른쪽·79)씨는 북한에 살고 있는 언니 춘란(81)씨를 만나러 간다. 바로 옆은 아들을 안고 있는 순란씨의 남편이고 왼쪽 두 사람은 언니·오빠다. 6·25전쟁 피난길에 홀로 떨어진 춘란씨는 사진에 보이지 않는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③
안순란(오른쪽·79)씨는 북한에 살고 있는 언니 춘란(81)씨를 만나러 간다. 바로 옆은 아들을 안고 있는 순란씨의 남편이고 왼쪽 두 사람은 언니·오빠다. 6·25전쟁 피난길에 홀로 떨어진 춘란씨는 사진에 보이지 않는다. 연합뉴스
① 경북 문경에 사는 이옥연(87)씨는 북에 사는 남편 채훈식(88)씨를 65년 만에 만난다. 이 사진은 1949년 부부의 결혼식 장면. 남편은 이듬해 6·25전쟁이 터지고 두 달 만에 징집돼 전쟁터로 떠났고 이후 두 사람은 다시는 보지 못했다. ② 이옥연씨가 남편과 헤어지고 아들 채희양(66)씨와 찍은 사진. 아들 채씨는 이번에 어머니를 모시고 생전 처음 보는 아버지를 만나러 간다. ③ 안순란(오른쪽·79)씨는 북한에 살고 있는 언니 춘란(81)씨를 만나러 간다. 바로 옆은 아들을 안고 있는 순란씨의 남편이고 왼쪽 두 사람은 언니·오빠다. 6·25전쟁 피난길에 홀로 떨어진 춘란씨는 사진에 보이지 않는다. 연합뉴스
2015-10-1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