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고도비만 심각…“100명 중 2∼3명꼴”

소아청소년 고도비만 심각…“100명 중 2∼3명꼴”

입력 2017-05-02 07:14
수정 2017-05-02 07: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도비만 소아청소년 대사증후군 위험 최대 66배↑

고대 안암병원 연구팀, 소아청소년 1만9천여명 분석결과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고도비만이 심각한 상황이다. 100명 중 2∼3명이 고도비만이며, 이들은 각종 성인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사증후군’ 위험이 정상체중인 또래보다 최대 66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비만은 체중(㎏)을 키(m)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 지수(BMI·㎏/㎡)가 3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고려대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이기형·남효경 교수팀은 2001∼2014년 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19세 소아·청소년 1만9천593명의 비만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소아 내분비·대사학 저널’(Journal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최신호에 발표됐다.

논문을 보면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전체 비만 유병률은 1998년 18.8%에서 2001년 22.4%, 2014년 22.9%로 2000년대 들어 상승세가 다소 주춤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미국의 비만 유병률이 1963∼1970년 5%에서 2003∼2004년 17%로 급격히 증가했다가 주춤해진 것과 비슷한 양상이다.

하지만 고도비만만 놓고 보면 상황이 달랐다.

국내 고도비만 유병률은 1998년 0.7%에서 2001년 1.8%, 2014년 2.4%로 급증세를 유지했다. 특히 10∼19세 남자 청소년의 경우 1998년 0.9%에 머물렀던 고도비만 유병률이 2014년에는 그 5.2배인 4.7%로 증가했다.

고도비만 소아청소년의 증가가 우려되는 이유는 성장기에 여러 대사질환을 동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고도비만 소아청소년의 대사증후군(복부비만, 고혈당,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고밀도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남자 51.9%, 여자 33.5%로 정상체중(남 1.6%, 여 1.2%)이나 비만(남 22.2%, 여 20.3%) 소아청소년보다 훨씬 높았다.

연구팀은 고도비만인 경우 대사증후군을 동반할 상대 위험도(OR)는 정상체중군의 66배, 비만의 3배에 이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기형 교수는 “한국 소아청소년의 고도비만 유병률은 2000년대 초부터 급격히 증가했고, 이 중에서도 10대 소년들 사이에서 그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면서 “소아청소년이 고도비만이 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정확한 체중 인식을 통해 스스로 체중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