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54%, 청탁금지법으로 직업에 회의감 느껴”

“교사 54%, 청탁금지법으로 직업에 회의감 느껴”

입력 2017-09-29 11:50
수정 2017-09-29 11: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교총 1천303명 이메일 설문조사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교사의 절반가량이 직업에 회의감을 느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9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청탁금지법 시행 1년을 맞아 지난 20∼25일 전국 유치원·초·중·고 교사와 대학교수(95명) 등 1천303명을 대상으로 한 이메일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청탁금지법 적용 대상이 돼 직업에 회의감이나 피로감을 느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54%가 ‘그렇다’고 답했다.

‘매우 그렇다’와 ‘대체로 그렇다’란 응답이 각각 27%였으며, ‘매우 그렇지 않다’ 25%, ‘대체로 그렇지 않다’ 21%로 나타났다.

청탁금지법이 학교 현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묻자 52%가 긍정적으로 바뀌었다고 답한 반면, 47%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답변 항목별로는 ‘교직사회 청렴의식이 상승했다’ 37%, ‘부정청탁과 금품수수가 근절되고 학교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했다’ 15%, ‘교원·학생·학부모 간에 삭막한 관계가 됐다’ 33%, ‘교내외 각종 행사 운영 시 불편 초래’ 12% 등이었다.

학부모와 대면 상담이 꺼려지는 경우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51%가 ‘그렇다’, 49%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다.

동료 교사와 식사, 술자리 등 친목 모임을 자제하거나 모임 참석이 꺼려지는가에 대해서는 59%가 ‘그렇다’, 32%가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

‘음료수 등을 선물한 뒤 신고하는 등 청탁금지법 악용 사례를 접하거나 경험한 경우가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76%가 그런 적이 없다고 답했고, 23%는 ‘(언론보도를 포함해) 직·간접으로 접했다’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의 신뢰수준은 95%, 표준편차는 ±2.71%포인트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