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 소매가 100원 오르는데, 식당에서는 1000원 올랐다”

“소주 소매가 100원 오르는데, 식당에서는 1000원 올랐다”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2-02-27 14:39
수정 2022-02-27 14: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가격 인상 도미노에 쓰디쓴 소주값
가격 인상 도미노에 쓰디쓴 소주값 지난 22일 서울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주류가 진열돼 있다.
서울신문DB
대형마트 3사도 판매가 올려…
인상 소식에 매출 급증
주류업체의 출고가 인상과 동시에 대형마트에서도 소주 가격이 인상되면서 소주 매출이 급증했다.

27일 대형마트업계에 따르면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는 지난 24일부터 참이슬 후레쉬와 참이슬 오리지널, 진로 등 하이트진로의 소주 가격을 100원씩 올렸다.

이는 하이트진로가 앞서 23일 소주 제품의 출고가를 7.9% 인상한 데 따른 것이다

소줏값 인상 소식이 알려지며 대형마트에서는 일시적으로 소주 매출이 급증했다.

이마트에서는 하이트진로가 소주 가격 인상을 발표한 이달 18일부터 23일까지 소주 매출이 의무휴업일이 없었던 2주 전인 2월 4∼9일보다 79% 증가했다.

롯데마트에서도 같은 기간 소주 매출이 34% 늘었고, 일부 매장에서는 소주 매대가 텅 비는 현상도 나타났다.

대형마트업계 관계자는 “소주는 가격 민감도가 큰 제품”이라면서 “장을 보러 왔다가 소주 인상 소식에 추가로 구입한 사람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오늘 4월부터 주세법 개정안이 적용됨에 따라 맥주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이어 주류업체에서 소주 출고가를 인상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22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주류가 진열돼 있다. 2022.2.22 오장환 기자
오늘 4월부터 주세법 개정안이 적용됨에 따라 맥주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이어 주류업체에서 소주 출고가를 인상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22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주류가 진열돼 있다. 2022.2.22 오장환 기자
“소매가는 100원 오르는데 식당에서는 1000원 오른다”국내 CU, GS25,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도 가격을 인상했다.

다만 오르는 소줏값에 일부 식당들이 소주 가격을 크게 올리자 소비자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기도 했다.

일부 식당들은 병당 4000원~5000원 이었던 소주 가격을 5000~6000원으로 인상했다.

이에 소비자들은 “소매가는 100원 남짓 오르는데 식당에서는 1000원이 오른다”며 “식당에서 먹지 않고 홈술을 하겠다”는 등 불만의 목소리가 나왔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지난 7월 14일부터 시행된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주차요금 50% 감면’ 제도가 공영주차장에서 안내 부실과 표기 누락으로 제도 취지가 제대로 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이 발의한 ‘서울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개정안은, 기존 국가유공자와 독립유공자 본인에게만 적용되던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80%)을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에게까지 확대(50% 감면)한 내용이다. 지난 7월 14일부터 감면이 적용됐음에도 8월 8일까지 감면 혜택을 받은 유족이 전무해, 주요 공영주차장 감면 안내표시를 확인한 결과, 감면 내용이 게시되지 않았거나 매우 작은 글씨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시민들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웠다. 지난 8월 12일 기준, 서울시 공영주차장 128개소 중 가장 큰 규모의 주차장 40개소를 확인하여 안내표지판에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요금 면’ 내용을 게시 조치했으나, 글씨가 작은 게시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서울시설공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점검 대상 40개소 중 ‘독립유공자 본인 주차요금 감면 80%’ 표기가 누락된 곳이 20곳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공공기간 부설주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하지만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제조사의 출고가 인상은 도매가 인상으로 이어져 판매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