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넥슨재단·충남대병원 방문 재활 업무협약
중증 장애아동 치료 접근성 개선 첫 민관 협력사업
이장우(사진 가운데) 대전시장과 김정욱(사진 왼쪽) 넥슨재단 이사장이 21일 찾아가는 중증 장애아동 방문 재활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전시 제공
전국에서 처음 아동 대상 ‘방문 재활’ 사업이 대전에서 시행된다.
대전시는 21일 공공어린이재활병원에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정욱 넥슨재단 이사장, 조강희 충남대학교병원장, 양신승 공공어린이재활병원장이 참석해 ‘찾아가는 방문 재활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찾아가는 장애아동 방문 재활사업은 병원 방문이 어려운 중증 장애아동과 가족의 치료 공백 해소를 위해 의료진이 가정과 학교, 시설을 찾아가 재활 치료를 제공하는, 국내에서 처음 이뤄지는 아동 대상 공공형 재활 서비스다.
중증 장애아동의 치료 접근성 개선을 통해 공공의료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민관 협력 기반의 새로운 재활 의료 모델로 주목된다.
이를 위해 넥슨재단이 기금 3억원을 후원하고,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전담 인력 및 재활 장비, 방문 차량 등을 확충해 2026년부터 중증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연간 400회 이상의 통합형 재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방문 재활 전담팀은 재활의학과 의사와 간호사, 물리·작업치료사 등 전문 의료진과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관절운동과 이동훈련, 감각자극 등 맞춤형 재활치료뿐 아니라 보호자 교육, 사회복지 상담, 가족 정서 지원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앞서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지난해부터 방문 재활 사업을 진행해 아동의 신체기능 향상과 상호작용 증진, 보호자 정서 회복 등 긍정적인 성과를 확인한 가운데 이번 협약을 통해 정규사업으로 확대하게 됐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지역 장애아동 치료의 거점에서 찾아가는 공공의료서비스까지 역할을 확대하게 됐다”면서 “의료·돌봄·교육이 통합된 소아 재활체계를 지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정욱 넥슨재단 이사장은 “공공병원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민간이 후원하는 협력 사례가 만들어졌다”며 “아이들이 적기에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을 확대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