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불치병’ 옛말…암환자 3명중 2명 5년이상 생존

’암=불치병’ 옛말…암환자 3명중 2명 5년이상 생존

입력 2014-12-23 12:07
수정 2014-12-23 1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년 생존율도 54.5%…조기검진 등 검진 수검률 상승 영향

50대 A씨는 6년 전 가슴에 통증을 느껴 병원을 찾았다가 유방암 2기 진단을 받았다. 처음 암이라는 소리를 들을 때는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았지만 수술과 항암치료 후 완치 판정을 받고 현재는 건강하게 생활하고 있다.

A씨처럼 조기 진단과 치료로 암을 ‘정복’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암은 불치병’이라는 공식도 점점 옛말이 되고 있는 것이다.

◇ 5년 생존율 68.1%, 10년 생존율 54.5%

23일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8∼2012년) 암을 진단받은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68.1%였다. 이 기간 암 발생자 3명 가운데 2명은 5년 이상 생존한다는 것이다.

5년 상대생존율은 이 기간 암 발생자가 교통사고나 심·뇌혈관 질환 등 암 이외의 원인으로 사망할 가능성을 보정해서 추정한 5년 이상 생존 확률로, 암 환자의 5년 관찰생존율을 일반인구의 5년 기대생존율로 나눠 계산한다.

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1993∼1995년 41.2%에서 2001∼2005년 53.8%, 2006∼2010년 65.0% 등으로 꾸준히 향상됐다. 10년 상대생존율도 1993∼1995년의 38.2%에서 2003∼2007년 54.5%로 늘었다.

암 종별로는 갑상선암의 5년 상대생존율이 100.1%로 가장 높았다. 암 진단을 받지 않은 일반 인구보다도 5년 생존율이 더 높다는 의미다.

전립선암(92.3%), 유방암(91.3%), 대장암(74.8%) 등도 비교적 생존율이 높았다.

1993∼1995년과 비교하면 전립선암(36.4%P), 위암(28.7%P), 비호지킨 림프종(20.9%P), 대장암(20.0%P), 간암(19.4%P) 등의 생존율 향상이 두드러졌다.

성별로는 여자의 5년 생존율이 76.6%로 남자의 59.5%보다 높았는데, 이는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과 유방암이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암 검진 수검률 증가로 조기 진단·치료 가능해져

이처럼 암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는 것은 의학 발달로 더 효과적인 약과 치료법이 개발됐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암 검진으로 조기 진단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재용 복지부 질병정책과장은 “치료기술이 향상된 것과 더불어 암 검진이 보편화하면서 과거에는 2∼3기에야 발견하던 암을 1∼2기에 발견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국민의 67.2%는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5대암의 검진 권고안에 따라 암 검진을 주기적으로 받고 있었다. 2004년 38.8%에서 크게 늘어난 것이다.

실제로 암을 조기에 발견할수록 상대생존율이 높다는 것이 이번 국가암등록통계에서도 확인됐다.

암이 처음 발생한 장기를 벗어나지 않은 국한 단계에서 진단을 받은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7.9%로, 암이 멀리 떨어진 다른 부위로 전이된 원격 전이 단계에서 발견된 환자의 5년 생존율 19.1%보다 훨씬 높았다.

췌장암이나 폐암의 경우 다른 암과 달리 원격 전이가 일어난 이후에야 발견되는 경우가 더 많아 5년 생존율도 각각 8.8%, 21.9%로 다른 암보다 크게 낮았다.

이강현 국립암센터장은 “우리나라에서 국가 암검진을 실시하는 5대 암의 경우 미국, 캐나다, 일본 등 다른 나라와 비교해 5년 생존율이 모두 높다”며 조기 진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