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호, 한국인 타자 최초로 ‘한미일 리그’ 도전

이대호, 한국인 타자 최초로 ‘한미일 리그’ 도전

입력 2015-11-03 11:08
수정 2015-11-03 1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투수는 이상훈·구대성·박찬호·임창용이 한미일 구단 경험

‘빅보이’ 이대호(33·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시선이 미국 메이저리그를 향했다.

그의 바람대로 메이저리그 입성에 성공한다면 사상 최초로 한국과 일본, 미국에서 뛰는 한국인 타자로 기록된다.

이대호는 3일 서울시 장충동 반얀트리 클럽 앤드 스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야구선수라면 누구나 동경하는 메이저리그에 도전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배려 속에 메이저리그 도전에 첫 걸음을 내딛게 됐다”고 메이저리그 진출을 선언했다.

이대호는 2001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해 한국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2011년까지 1천150경기에 나서 타율 0.309, 225홈런, 809타점을 올리며 한국 무대를 평정한 이대호는 2012년 일본에 진출했다.

일본에서는 2012년부터 올해까지 4시즌 동안 570경기 타율 0.293, 98홈런, 348타점을 올렸다.

투고타저가 지배하는 일본프로야구 상황을 고려하면 엄청난 성적이다.

2014년과 2015년 일본시리즈 정상에 오르며 한국 무대에서 한으로 남았던 ‘우승의 꿈’도 이뤘다.

2015 일본시리즈에서는 16타수 8안타(타율 0.500) 2홈런 8타점을 기록하며 시리즈 MVP까지 수상했다.

일본에서 ‘최고 외국인 선수 대우’를 받으며 성공 가도를 달리던 이대호는 다시 한 번 도전을 택했다.

현재까지 한·미·일 프로야구 1군 무대를 경험한 한국 선수는 총 4명이다. 이들은 모두 투수였다.

좌완 강속구 투수 이상훈(현 두산 베어스 코치)은 1993년 LG 트윈스에 입단해 프로생활을 시작했고, 1998년 일본으로 건너가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활약했다. 그리고 2000년 보스턴 레드삭스 유니폼을 입고 메이저리그 마운드에 섰다.

호주리그에서 여전히 현역으로 활약하는 좌완 구대성은 1993년 빙그레 이글스(현 한화), 2001년 오릭스 블루웨이브(현 오릭스 버펄로스), 2005년 뉴욕 메츠에 입단하며 한국, 일본, 미국 순으로 무대를 넓혔다.

한국 최초 메이저리거 박찬호는 다른 수순을 밟았다. 1994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입단한 그는 화려한 메이저리거 생활을 마치고 2011년 일본 오릭스와 계약했다. 그리고 2012년 한화에서 한 시즌을 뛰며 현역 생활을 마감했다.

사이드암 임창용(삼성 라이온즈)은 1995년 해태 타이거즈(현 KIA), 2008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13년 시카고 컵스와 계약하며 ‘한·미·일 클럽’에 가입했다.

김병현(KIA)은 미국과 한국에서는 1군 마운드에 섰지만 일본 라쿠텐 골든이글스에서는 2군에만 머물렀다.

2010년 타격 7관왕에 오르는 등 한국 무대를 평정한 이대호는 한 수 위로 평가받는 일본 무대에서도 ‘특급 타자’로 분류됐다.

이대호의 에이전시 MVP스포츠그룹 관계자는 “일본리그 정상급 선수는 미국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이대호가 일본시리즈 MVP에 오른 것도 메이저리그 구단이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한일 언론 모두 이대호의 행보를 주목한다. 빅보이 이대호가 빅리그 타석에 서면, 한국 야구사에 길이 남을 새로운 기록도 탄생한다.

김형재 서울시의원 “국기원 중앙수련장 냉난방기 설치 및 지붕누수 보수 완료 환영”

서울시의회 김형재 의원(강남2, 국민의힘)은 지난 6일 국기원을 방문, 국기원 지붕 빗물누수 개보수 및 중앙수련장 내 냉난방기 설치가 최근 완료된 데 대해 “태권도 성지인 국기원이 마침내 쾌적한 환경을 갖추게 되어 매우 뜻깊다”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번 국기원 노후시설 개보수 사업은 김 의원이 2025년도 서울시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의원발의 형태로 확보한 총 24억 6000만원의 예산을 바탕으로 추진된 사업으로, 국기원 개원(1972년) 이후 50여년 만에 처음으로 서울시 예산이 지원된 바 있다. 김 의원은 “그동안 국기원은 폭염과 한파 속에서도 냉난방 장비 없이 교육, 심사, 시범단 훈련을 진행하는 등 국내외 태권도 수련인 모두에게 열악한 환경이었다”며 “또한 장마, 폭우 시 지붕에 빗물이 흘러내려서 대형 고무대야를 10여 개씩 비치하는 등 국내외 참가자들의 안전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며 개보수의 시급성을 강조해 왔다. 앞서 김 의원은 지난해 11월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행정사무감사 및 예산안 심의 과정에서 국기원 건물의 노후화 문제를 적극 제기하며 시설 전반에 대한 현대화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한 바 있다. 또한, 올해 1월에는 서울시와
thumbnail - 김형재 서울시의원 “국기원 중앙수련장 냉난방기 설치 및 지붕누수 보수 완료 환영”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