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스치지도 않게… K쇼트트랙 새 전략 ‘황대헌식 초반 질주’

중국과 스치지도 않게… K쇼트트랙 새 전략 ‘황대헌식 초반 질주’

장형우 기자
입력 2022-02-10 22:14
수정 2022-02-13 11: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자 1000m 오늘 메달 사냥

멘털·기술·체력 필요 고난도 전략
황대헌·이준서가 이미 성공시켜

한국 쇼트트랙은 1992년 알베르빌올림픽에서 김기훈의 곡선 주로 ‘외다리 주법’으로 동계올림픽 최초의 금메달을 땄다. 김동성과 전이경은 1998년 나가노올림픽에서 ‘날 들이밀기’로 정상을 차지해 세계 빙상계에 신선한 충격을 줬다. 그리고 편파 판정이란 벽을 만난 베이징올림픽에선 ‘초반 선두’라는 전략으로 한국 쇼트트랙이 왜 최강인지를 스스로 증명했다. 중장거리 쇼트트랙 경기에서 초반 선두를 계속 유지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체력과 정신력(멘털), 기술의 삼박자가 완벽히 맞아떨어져야 성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 선수들이 이 전략을 알아도 따라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민정(왼쪽·성남시청)과 이유빈(오른쪽·연세대)은 11일 중국 베이징 수도체육관에서 열리는 쇼트트랙 여자 1000m 경기에서 한국의 두 번째 금메달 사냥에 나선다. 남자 1500m에서 황대헌(강원도청)이 첫 금메달을 캐냈기 때문에 심적 부담을 덜었다. 초반 선두 전략이 통한다는 것을 지난 9일 황대헌과 이준서(한국체대) 경기에서 이미 확인했다.

초반 선두는 경쟁자들의 허를 찌르는 동시에 편파 판정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는 전략이다. 말은 쉽지만 아무나 쓸 수 있는 전략은 아니다. 초반에 선두에 서면 맞바람의 저항을 끝까지 견뎌야 하고, 후반엔 막판 스퍼트로 치고 들어오는 경쟁자들보다 더 많은 힘을 비축하고 있어야 한다. 체력에 자신이 없으면 쓸 수 없는 카드다. 또 초반 선두를 위해 크게 돌아 나갈 타이밍을 잡는 기술과 마지막까지 선두를 지키기 위해 추월을 막는 기술도 필요하다. 13바퀴 반을 도는 1500m의 결승선 9바퀴를 남겨 두고 선두로 치고 나가 한 번도 1위를 내주지 않은 황대헌의 금빛 레이스와 이준서의 준결선이 그랬다.

멘털도 중요하다. 돌발 상황이 속출하는 레이스를 마지막까지 선두에서 지배하면서 경쟁자들을 떨쳐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어야 한다. 일단 대진운도 좋다. 1000m 세계 랭킹 3위 최민정이 속한 준준결선 4조는 세계 2위 크리스틴 샌토스(미국)를 제외하면 무난한 상대다. 상승세를 타고 있는 이유빈도 준준결선에서 중국과 네덜란드 선수들을 피했다.



2022-02-1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