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3㎞ 뛰고도… “아무도 교체를 원하지 않았다”

143㎞ 뛰고도… “아무도 교체를 원하지 않았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18-07-12 22:50
수정 2018-07-12 23: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결승행의 힘은 ‘정신력’

최초 세 경기 연속 연장 후 결승
매 경기서 상대 더 뛰게 만들어

“우리 모두 ‘좋아, 오늘 밤 누가 지치게 될지 보자’고 생각했다.” 12일 잉글랜드와의 러시아월드컵 4강전을 연장 혈투 끝에 2-1 승리로 이끈 크로아티아 미드필더 루카 모드리치는 경기 뒤 영국 기자들과 해설위원들을 정조준했다.
크로아티아는 덴마크와의 16강전, 러시아와의 8강전 모두 승부차기까지 치르는 바람에 체력 소모가 극심했다. 팀 전체로 각각 132㎞와 139㎞를 뛰었다. 반면 잉글랜드는 콜롬비아와의 16강전만 승부차기로 이기고 스웨덴과의 8강전은 정규시간 안에 승부를 끝내 체력의 우위를 갖고 있었다. 평균 연령 26.1세로 상대보다 세 살 젊은 점도 잉글랜드의 결승 진출을 점치게 만들었다.

모드리치는 “그들은 우릴 저평가했는데 그건 큰 실수였다”며 “우리는 그런 말들을 접하면서 각오를 더 다졌다. 오늘 우리는 지치지 않는다는 걸 다시 보여 줬다.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경기를 지배했다”고 돌아봤다.

즐라트코 달리치 크로아티아 감독은 후반이 끝날 때까지 선수를 한 명도 바꾸지 않았다. 그는 “당연히 바꾸고 싶었지만 아무도 교체를 원하지 않았다. 모두 더 뛸 수 있다고 의지를 불태웠다”고 팀 분위기를 소개했다. 네 장의 교체 카드는 연장전에 사용됐다. 이날 크로아티아 선수들은 143㎞를 뛰어다녔다. 월드컵에 세 경기 연속 연장 승부는 1990년 잉글랜드 이후 두 번째였다. 당시 잉글랜드는 벨기에와의 16강전, 카메룬과의 8강전을 연달아 연장까지 치른 뒤 옛 서독과의 준결승은 승부차기로 내줬다. 따라서 세 경기 연속 연장 끝에 결승에 오른 것은 크로아티아가 처음이다.

그러면서도 세 경기 모두 더 높은 패스 성공률을 바탕으로 상대를 더 뛰어다니게 만들었다.

결승 상대 프랑스는 16강전부터 세 경기 연속 90분 안에 승부를 결정지어 한 경기에 해당하는 90분을 덜 뛰었고 116㎞를 덜 뛰어 하루 더 쉬어 체력적으로 단연 유리하다. 하지만 크로아티아의 노련한 경기 운영에 말려들면 열심히 공을 쫓아다니다 결정적인 한 방을 얻어맞고 우승을 내줄 수 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8-07-1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