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 주변 편의점 90%가 불법 담배광고”

“중·고교 주변 편의점 90%가 불법 담배광고”

입력 2013-05-30 00:00
수정 2013-05-30 1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고등학교 주변의 편의점 10곳 중 9곳이 불법 담배광고를 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금연운동협의회(회장 서홍관)는 서울시내 중·고등학교 주변 200m 이내(학교 상대정화구역)의 편의점 151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담배광고를 점포 외부에 노출하는 형태의 불법광고가 90.1%(136개소)에 달했다고 30일 밝혔다.

협의회는 이같은 조사결과를 31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는 세계 금연의 날 기념 세미나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국민건강증진법상 편의점 내 담배광고의 외부 노출은 금지돼 있다. 법을 어기면 1천만원 이하의 벌금과 1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 질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결과를 보면 청소년들은 담배광고로부터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었다.

조사 대상 편의점의 총 담배광고 갯수는 총 958개로, 편의점 1곳당 평균 6.3개에 달했다. 이중 편의점 내 담배광고가 외부(편의점 밖)에 노출되는 불법광고는 90.1%(136개소), 편의점 내 담배 진열이 외부(편의점 내)에 노출되는 경우는 87.4%(132개소)로 각각 집계됐다.

또 편의점 내 담배 광고와 청소년 물품과의 진열 거리가 10㎝ 이하로 붙어 있는 경우도 82.8%(125개소)나 됐다.

서홍관 회장은 “흡연에 대한 모방과 호기심으로 청소년 흡연 시작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보호돼야 할 청소년들이 학교주변 편의점에서 담배광고에 노출되고 있다”면서 “정부와 국회, 민간, 언론 차원에서 담배광고에 대한 강력한 규제책 마련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금연운동협의회는 31일 오전 서울청계광장에서 세계 금연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범국민 금연운동추진단’을 발족한다.

추진단에는 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 대한간호협회 등 37개 단체가 참여할 예정이다. 참여기관 대표들은 이날 공동으로 담뱃값 인상 및 강력한 담배규제 정책 추진 촉구를 위한 결의문을 낭독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지난 7월 14일부터 시행된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주차요금 50% 감면’ 제도가 공영주차장에서 안내 부실과 표기 누락으로 제도 취지가 제대로 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이 발의한 ‘서울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 조례’ 개정안은, 기존 국가유공자와 독립유공자 본인에게만 적용되던 공영주차장 요금 감면(80%)을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에게까지 확대(50% 감면)한 내용이다. 지난 7월 14일부터 감면이 적용됐음에도 8월 8일까지 감면 혜택을 받은 유족이 전무해, 주요 공영주차장 감면 안내표시를 확인한 결과, 감면 내용이 게시되지 않았거나 매우 작은 글씨로 표기된 경우가 많아 시민들이 쉽게 인지하기 어려웠다. 지난 8월 12일 기준, 서울시 공영주차장 128개소 중 가장 큰 규모의 주차장 40개소를 확인하여 안내표지판에 ‘독립유공자 선순위 유족 요금 면’ 내용을 게시 조치했으나, 글씨가 작은 게시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또한 서울시설공단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점검 대상 40개소 중 ‘독립유공자 본인 주차요금 감면 80%’ 표기가 누락된 곳이 20곳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공공기간 부설주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아직 부족한 예우 ‘독립유공자’·‘선순위 유족’ 주차 요금 감면제도, 안내 부실·표기 누락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