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서울서 문연 음식점·술집 등 폐업률 48%…스타벅스는 0%

2013년 서울서 문연 음식점·술집 등 폐업률 48%…스타벅스는 0%

김태이 기자
입력 2019-10-03 11:07
수정 2019-10-03 1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반음식점 38%, 편의점 41%, 카페 45%가 문닫아…룸살롱 폐업률은 6%

2013년 서울에 새로 생긴 음식점, 카페, 술집 등 식품위생업소 가운데 48%가 폐업한 것으로 분석됐다. 카페 폐업률도 40%를 넘었지만 스타벅스는 한 곳도 사라지지 않았다. 유흥업소인 룸살롱 폐업률도 5%에 불과했다.

3일 서울열린데이터광장의 서울시 식품위생업소 현황 데이터를 분석해본 결과 2013년 문을 연 3만1천318개 업소 가운데 48%(1만5천26개)가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폐업한 상태였다. 나머지 52%(1만7천292개)는 영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 편의점, 카페, 마트, 술집 등이 속한 식품위생업은 진입장벽이 낮아 자영업자들이 많이 몰리는 대표적인 업종이다. 스타벅스와 같은 직영점도 일부 있지만, 개인사업자와 가맹점주가 운영하는 점포가 대다수다.

2013년 영업을 시작한 식품위생업소 가운데 일반음식점은 1만4천145개였고, 이 중 38.5%(5천443개)가 폐업했다.

분식집처럼 끼니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곳 위주인 휴게음식점 폐업률은 50.0%(4천618개 중 2천292개)로 더 높았다. 두 곳 중 한 곳은 6년 사이 망한 셈이다.

파리바게뜨 등이 속한 제과점은 525개 중에서 53.7%(282개)가 문을 닫았다.

크로켓이나 만두, 닭강정 등을 파는 즉석판매제조가공업소는 1천598개 가운데 72.4%인 1천157개가 사라졌다. 특정 간식류나 디저트가 유행을 타면 동네에 가게가 우후죽순 생겨났다가 인기가 시들해지면 언제 그랬냐는 듯 빠르게 사라지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이들을 제외한 식품위생업소에는 식품 등 수입업소, 식품 운반업소, 급식소, 단란주점 등이 있다.

음식점 폐업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인건비와 임대료 상승, 경기둔화로 주춤해진 소비 증가세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직을 한 경우 특별한 대안이 없어 폐업률이 높다는 것을 알면서도 자영업에 뛰어드는 경우도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고용 여건이 좋지 못해 별다른 준비 없이 창업하는 이들이 많다. 이에 자영업 폐업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음식점은 늘어났는데 경기둔화로 소비가 따라가 주질 못하며 업황이 나빠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식품위생업소를 세부 업태별로 보면 편의점 폐업률도 40%대로 나타났다.

2013년 서울에 새로 생긴 편의점 240개 가운데 41%인 99개는 문을 닫았다. 폐업한 곳은 CU(씨유)가 54개, GS25가 15개, 세븐일레븐이 8개, 미니스톱이 7개, 기타 편의점이 15개였다. 1인 가구 증가 속에 동네 편의점이 빠르게 늘어났지만, 그만큼 경쟁도 치열해진 결과다.

스타벅스 등 대형 업체부터 소규모 개인 카페까지 2013년 한 해 카페만 3천199개가 생겼고, 이 중 45%인 1천441곳은 폐업했다. 문을 닫은 카페의 절대다수는 개인사업자가 하는 소규모 카페였다. 특히 그해 새로 생긴 스타벅스 68개 가운데 문을 닫은 곳은 단 한 군데도 없어 폐업률이 0%였다.

한편 룸살롱은 53개가 새로 생겼고 이 중 강남구 역삼동, 영등포구 여의도동, 금천구 시흥동에 있는 3곳만 닫으며 폐업률은 5.7%에 불과했다.

횟집 폐업률은 45.1%, 분식집은 44.3%, 경양식은 41.5%, 중식은 38.1%였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