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성수기’ 반사효과... 지난달 기업 주식발행 10% 증가

‘IPO 성수기’ 반사효과... 지난달 기업 주식발행 10% 증가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1-09-24 11:08
수정 2021-09-24 1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월 주식발행 4조 4741억... 10.3%↑
IPO 4조 877억... 전월 대비 27.4%↑
계절적 요인에 회사채 발행은 12.3%↓

지난달 크래프톤 등 기업공개(IPO) 대어들이 줄줄이 상장하면서 기업이 발행한 주식 규모가 10%가량 늘었다.
이미지 확대
금융감독원이 24일 발표한 ‘8월 중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기업의 주식 발행은 모두 4조 4741억원(22건)으로 전월 4조 554억원(17건) 대비 4187억원(10.3%) 늘었다.

기업공개가 4조 877억원(12건)으로 전월 3조 2083억원(7건) 대비 27.4%(8794억원, 5건) 증가했다. 크래프톤 2조 8008억원, 롯데렌탈 4255억원 등 코스피 상장을 위한 대형 IPO를 중심으로 발행 건수와 금액이 늘어난 영향이다. 지난달 코스피 상장은 5건, 코스닥 상장은 7건이었다.

유상증자는 3864억원(10건)으로 전월 8471억원(10건) 대비 발행건수는 동일했지만 금액은 4607억원(54.4%) 감소했다.

또 지난달 회사채 발행액은 모두 14조 8858억원으로 전월 대비 2조 802억원(12.3%) 줄었다. 반기보고서 제출 등 계절적 요인에 더해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금리 변동성 확대 등의 영향으로 일반 회사채를 중심으로 발행이 감소했다는 설명이다.

일반회사채 발행액은 전월 대비 87.1% 줄어든 6200억원이었다. 전체의 약 90.6%가 운영자금 조달 목적이었고, 만기 1년 초과 5년 이하 중기채가 91.9%를 차지했다. 신용등급은 AA등급 우량물 비중이 83.9%로 60.7%포인트 늘었다.

금융채 발행은 12조 3740억원(205건),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은 1조 8918억원(82건)으로 각각 전월 대비 8.5%, 156.3% 늘었다. 이에 따라 지난달 말 기준 전체 회사채 잔액은 615조 1683억원으로 전월(611조 3473억원) 대비 3조 8210억원(0.6%) 소폭 증가했다.

주식과 회사채를 합한 발행액은 모두 19조 3599억원으로 전월 대비 7.9% 줄었다.

이밖에도 지난달 기업어음(CP)과 단기사채 발행액은 총 152조 2743억원으로, 전월 136조 8950억원 대비 15조 3793억원(11.2%) 늘었다. CP는 전월 대비 16.7% 많은 38조 1592억원, 단기사채는 9.5% 많은 114조 1150억원이 각각 발행됐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