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9월 물가 3.7%↑… 2개월 연속 증가 폭 확대

[속보] 9월 물가 3.7%↑… 2개월 연속 증가 폭 확대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3-10-05 08:00
수정 2023-10-05 08: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9월 소비자물가 동향 발표
물가상승률 지난해보다 3.7% 상승
지난 4월 이후 5개월 만의 최대 폭

이미지 확대
생산자 물가, 1년 4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
생산자 물가, 1년 4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농산물·서비스 가격의 오름세가 이어지면서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른 20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1.16으로 7월 120.08에서 0.9% 상승했다. 두 달 연속 오른 생산자물가지수 8월 상승 폭은 지난해 4월 1.6% 이후 가장 컸다. 2023. 9. 20. 연합뉴스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3.7%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상승 폭을 키웠다. 지난 6~7월 두 달간 2%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바닥을 찍은 뒤 다시 상승 폭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추석을 맞아 농산물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서비스 물가가 오른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은 5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가 112.99(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 올랐다고 밝혔다. 지난 4월 3.7%를 기록한 이후 5개월 만의 최대 폭 상승이다.

근래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7월 6.3%로 정점을 찍은 이후 지난 7월 2.3%까지 내렸지만, 국제 유가 상승으로 국내 석유류 가격의 하락 폭이 작아지면서 두 달 연속 오름폭이 확대됐다.

석유류 물가는 1년 전보다 4.9% 내려 8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었음에도 하락률은 지난 7월 -25.9%, 8월 -11.0% 등으로 점점 줄고 있다. 지난달 하락률은 올해 2월 -1.1% 이후 최저였다.

농축수산물도 3.7% 오르며 전월 2.7%에서 상승 폭을 1.0% 포인트 확대했다. 특히 농산물이 7.2% 급등하며 전월 5.4%에서 오름폭을 키웠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8%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3%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4.4% 올랐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석유류 가격의 하락 폭이 둔화했다”며 “국제유가에 따라 앞으로 (물가 흐름이) 달라질 것 같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