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112주년 특별기획] 미래 암담한 2030… 5명 중 1명만 “내 자녀, 나보다 잘살 것”

[창간 112주년 특별기획] 미래 암담한 2030… 5명 중 1명만 “내 자녀, 나보다 잘살 것”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16-07-18 23:28
수정 2016-07-19 03: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대 간 향후 경제전망

50대 45.1% 60대 55.6% 달해
저연령일수록 “부모보다 못산다”
고성장 경험 없는 2030 비관적
“고용 불안·양극화 심화가 원인”


이미지 확대
2030세대는 자녀가 자신보다 경제적으로 못살 것이라고 생각하는 반면 5060세대는 자녀가 자신보다 더 잘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전망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이가 이런 미래관의 차이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50대와 60대는 ‘내 자녀가 나보다 잘살 것’이라고 내다본 비율이 각각 45.1%, 55.6%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20대와 30대는 각각 14.6%와 24.7%만 ‘내 자녀가 나보다 잘살 것’이라고 답했다. 5명 중 1명(19.8%)에 불과했다. 20대와 30대 대다수는 자녀 세대가 자신과 비슷할 것(각각 55.3%, 48.9%)이라고 생각하거나 못살 것(6.6%, 11.5%)이라고 생각했다. 자녀 세대가 못살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경제 불안정’(29.0%)과 ‘고용 불안’(21.5%) 때문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양극화 심화’(10.3%), ‘사회 불안’(6.5%) 등의 이유도 눈에 띄었다.

부모 세대와 자신의 경제여건을 비교하는 질문에 대해서도 50대와 60대는 ‘부모보다 잘산다’고 답했으나 연령이 낮아질수록 ‘부모보다 못산다’는 응답자가 증가했다.

60대 이상은 61.4%, 50대는 52.5%, 40대는 24.9%, 30대는 14.0%, 20대는 8.9%가 ‘부모보다 잘산다’고 대답하는 등 세대별 격차가 컸다. 부모 세대에 비해 못산다는 답변은 20대(21.6%)와 30대(19.6%)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부모 세대보다 못사는 이유로는 ‘소득 수준이 낮다’(18.1%), ‘직업이 없다’(17.3%), ‘소유재산이 없다’(13.4%), ‘경기 침체’(12.6%) 등을 꼽았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세대별 인식 차이에 대해 2030세대와 5060세대의 삶의 궤적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는 “고성장 시대를 살아온 50~60대는 계속해서 경제 상황이 나아지는 현실을 살아 왔기에 미래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면서 “반면 20~30대는 고성장 시대를 경험해 본 적이 없는 데다 지금의 삶도 팍팍하기 때문에 미래를 비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20~30대는 나중에 노년과 유아를 모두 부양해야 하는 짐을 짊어졌다”며 “향후 한국 잠재성장률이 2% 미만일 것이라고 하고, 65세 이상 노령층이 30%를 넘는다는 뉴스를 접하며 부정적인 시각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진경 서울과학기술대 사회학과 교수도 “청년실업률이 10%를 웃도는 상황에서 청년들은 이전 세대가 과실을 다 누리고 우리가 이런 처지가 됐다고 인식하며 부정적 시각을 갖게 된다”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6-07-19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