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대선 때 유권자 정점 찍을 듯…60대 이상이 40% 차지

22대 대선 때 유권자 정점 찍을 듯…60대 이상이 40% 차지

입력 2017-05-11 09:21
수정 2017-05-11 09: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32년 4천520만명 추정…올해보다 6.4% 늘어난 규모유권자 고령화로 제25대 대선엔 60대 이상이 50% 돌파 전망선거연령 18세로 낮추면 고령화 속도 다소 늦춰질 듯

15년 뒤인 2032년 대통령 선거 때 유권자 수가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화로 유권자도 나이가 들면서 2032년에는 유권자 10명 중 4명이 60대 이상이 되고 그로부터 15년 뒤에는 전체 유권자의 절반 이상이 60대 이상이 될 것으로 점쳐졌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별다른 개헌 없이 앞으로 5년마다 대선이 치러질 경우 선거권을 지닌 만 19세 이상 인구는 2032년 제22대 대선 때 4천519만8천147명으로 정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9일 치러진 제19대 대선 때 유권자 4천247만9천710명보다 6.4%(271만8천437명) 늘어난 규모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보면 차기 대선인 2022년 제20대 대선에서 만 19세 이상 인구는 4천397만4천799명, 2027년 4천474만1천3명에서 2032년까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저출산, 고령화 여파로 전체 인구가 2031년(5천295만8천명) 정점을 찍고 내리막길로 접어들며 대선 유권자도 감소한다.

제23대 대선 때인 2037년에는 만 19세 이상 인구가 4천516만4천171명으로, 5년 전보다 0.08%(3만3천976명) 줄어들고 2042년 4천471만8천844명, 2047년 4천390만3천366명으로 감소한다.

2062년이 되면 만 19세 이상 인구는 3천894만6천46명으로 4천만명 미만으로 떨어진다.

대선 유권자가 가장 마지막으로 4천만명을 밑돈 적은 2007년 17대 대선(3천767만1천149명)이었다.

유권자 구성도 고령화된다.

올해 대선에선 60세 이상이 전체 유권자의 24.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40대(20.6%), 50대(19.9%), 30대(17.6%), 19∼29세(17.5%) 순이었다.

그러나 유권자가 정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2032년에는 60대 이상 인구가 전체 19세 이상 인구의 40.3%로 올해보다 15.9%포인트 확대되는 반면 다른 연령대 비중은 일제히 쪼그라든다.

60대 이상 다음으로는 50대가 17.9%로 그 뒤를 잇고 40대(15.2%), 30대(15.1%), 19∼29세(11.5%) 순으로 나타나는 등 나이가 많을수록 비중이 커지는 ‘역피라미드’ 구조가 나타난다.

60대 이상 인구 비중은 계속해서 늘어나 제25대 대선 때인 2047년에는 50%(50.3%)를 돌파하고 제28대 대선이 있는 해인 2062년에는 55.6%까지 확대된다.

반면 19∼29세 젊은 인구는 2062년 9.9%로 10%를 밑도는 수준까지 떨어진다.

연령층이 높을수록 보수 후보를 지지하는 경향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보수 후보가 득세하기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셈이다.

물론 변수는 있다.

문재인 신임 대통령이 대통령 선거 연령을 만 19세에서 18세로 하향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 경우에도 유권자 정점은 2032년으로 변함없지만 유권자가 될 수 있는 만 18세 이상 인구는 4천562만8천960명까지 늘어나게 된다.

이후 2037년 제23대 대선 때부터 만 18세 이상 인구는 내리막길을 걸어 2062년 제28대 대선 때 3천925만1천657명까지 떨어진다.

젊은 인구가 소폭 늘어나며 유권자 고령화 속도는 현행 제도를 유지했을 때보다 다소 늦춰진다.

2032년 정점 때는 만 18세 이상 인구 중 60대 이상이 가장 많지만 그 비중은 39.9%로 만 19세 이상을 유권자로 했을 때보다 0.4%포인트 떨어진다.

그다음은 50대 17.7%, 40대 15.1%, 30대 14.9%, 18∼29세 12.3%로 순서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30∼50대 비중은 소폭 줄어드는 반면 29세 미만 비중은 0.8%포인트 늘어난다.

60대 이상 인구 비중은 제26대 대선인 2052년에는 51.4%까지 늘어난 뒤 2062년 제28대 대선 때는 55.2%까지 확대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