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실종 흉흉~한 흉부외과
“소명의식을 갖고 달려들었지만 수련과정이 너무 힘들고 고달픈 데다 사회적 현실도, 대우도 너무 차이가 컸습니다. 쉽게 말해 고생에 대한 대가가 없다는 얘깁니다.” 흉부외과 레지던트 과정을 1년간 밟다 다른 전공을 찾기 위해 포기한 수련의 A씨의 말이다.“3년차까지 이 악물고 쉬는 날도 없이 하루 20시간씩 일했지만 막막합니다. 정부에서 지원을 해준다고 해도 체감할 수 없고 앞으로도 하늘의 별 따기인 교수직 외에는 갈 길이 없으니 누가 하려고 하겠습니까.” 지방대 흉부외과 레지던트 3년차 B씨의 하소연이다. 의료계에서 가장 험난한 길을 걷겠다고 흉부외과를 선택했지만 “다시 시간을 돌려 전공을 정할 수 있다면 흉부외과는 절대로 가지 않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제자들을 바라보는 교수들은 앞길을 터주지 못하는 처지가 답답할 뿐이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교수는 “정부에서 수가를 100% 인상해주면 뭔가 변화가 있을 줄 알았는데 병원들이 당장 먹고살겠다고 수입으로 돌리는 바람에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털어놓았다.
선망의 대상이자 의료계의 꽃으로까지 불렸던 흉부외과가 끝 모를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2009년 보건복지부가 흉부외과 수가를 100%나 인상했지만 흉부외과를 전공하려는 의사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5일 복지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흉부외과 레지던트 지원율을 조사한 결과, 2007년 45.2%에서 2008년 41%, 2009년 26%로 급격히 떨어졌다. 지난해에는 수가 인상의 영향으로 46.1%로 반짝 올랐다. 그러나 올해 효과가 다 된 탓인지 35.5%로 10% 포인트 이상 감소했다. 반면 피부과·성형외과·안과 등 3대 인기과는 2007년에 비해 다소 지원율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올해 역시 131.5~146%로 100%를 넘었다. 흉부외과의 기피는 만만찮은 수련과정, 수술에 따른 위험 부담, 긴 수술시간, 미흡한 대우 등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편하고 쉽게’라는 사회적 분위기도 한몫하고 있다.
복지부는 2009년 7월 흉부외과와 관련된 의료행위 200여개에 대해 건강보험 수가를 획기적으로 100% 올렸다. 열악한 근무환경에 노출된 레지던트와 전문의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취지와는 달리 엉뚱하게도 일부 병원은 의료장비 구입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부작용을 낳았다. 지난해 국정감사와 관련 학회조사에서 10개 대학병원이 평균 12%만 적정 용도로 쓴 것으로 밝혀졌다. 복지부는 이 대학병원에 경고 조치했다.
하지만 상황이 크게 나아지지 않는다고 판단한 복지부는 올해 흉부외과를 운용하는 병원 65곳에 올 1~6월 수가 인상에 따른 수입 증가분 사용 내역을 내도록 해 최근 자료를 모두 확보했다. 만약 수가 인상분의 30%를 레지던트·전문의·간호사 등의 임금·수당 개선에 사용하지 않으면 다른 전문 과목 1개를 정해 레지던트 정원을 5%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복지부 측은 “다음달 2일까지 심사를 진행해 내년도 전공의 모집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2009년 수가 인상 논의 당시 학회에 정원을 한 명 더 늘리는 데 필요한 인건비 지원 등 직접적인 지원책을 요구했었다.”면서 “근무환경 개선과 인력확대에 대한 파격적인 논의와 조사가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1-08-0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