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 어렵지만, 세월호서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에…”

“생계 어렵지만, 세월호서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에…”

입력 2014-07-25 00:00
수정 2014-07-25 14: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생존 제주 화물차 기사들 어려움 호소

“이젠 화물차도 없고, 제주도에서 주는 생계비만으로는 생활하기 어렵죠. 그런데 살아남았다는 죄책감에 차마….”

세월호 참사에서 살아남은 화물차 기사 김영천(58)씨는 25일 “앞으로 물어야 할 화물차 할부금도 부담이고 일도 못하고 있어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막막하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세월호 참사 생존자인 제주지역 화물차 기사들은 이날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시민단체로 구성된 세월호 참사 대응 제주대책회의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사고 당시 여러 승객의 탈출을 돕는 등 인명 구조에 큰 역할을 했음에도 여전히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다. 대부분 아직 부상이 낫지 않거나 정신적 트라우마로 고통받고 있다. 생계 수단인 화물차도 세월호와 함께 가라앉아버렸다.

이날 병원복 차림으로 기자회견에 참석한 기사 윤길옥(49)씨는 사고 당시 양쪽 발에 3도 화상을 입었다. 그는 서울에서 피부 이식수술을 받고 한 달여 전 제주에 와 아직도 치료를 받고 있다.

윤씨는 화물차를 할부로 구입해 한 달에 250여만원씩 3년간 할부금을 물어야 하는 처지다.

그는 할부가 6개월 유예되긴 했지만 이제 생계 수단인 화물차가 없는 데다 몸도 아직 다 낫질 않았고, 국가에서 나오는 돈은 4인 가족 기준 월 108만원뿐이라 신용불량이 될 형편이라며 딱한 사정을 토로했다.

윤씨는 “제주에 온 지 한 달이 넘었는데도 도청 어느 부서에서도 찾아온 사람이 없다. 그만큼 피해자들에게 신경을 안 쓰고 있다는 것”이라며 유가족들이나 다른 생존자들도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가와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주대책회의는 “피해자들이 처한 현실이 각각 다르지만 대책은 일률적이고, 세심한 배려도 부족하다”며 “육체적, 정신적 피해로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는 제주지역 화물차 기사들의 사정은 개인을 넘어 피해자 가족의 문제이자 사회 안전망에 대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생존 피해자들은 재판부 증언 등으로 여기저기 불려다니는가 하면 정부 차원의 지원도 직접 찾아다니며 신청해 받는 실정”이라며 “대부분 심리적 괴로움으로 화물차 운전을 하지 못하겠다는 상황이지만 정부 당국의 대책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제주도와 도의회에 제주지역 피해자에 대해 ‘선 보상 후 구상’이 이뤄지도록 하고, 피해자 개개인의 상황을 고려한 일대일 지원을 하루빨리 시행하라고 촉구했다. 도의회에는 세월호 진상 규명 특별법이 하루빨리 제정되도록 성명을 채택하는 등의 노력도 요구했다.

피해자들은 기자회견에 이어 이날 오후 구성지 제주도의회 의장과 현정화 복지안전위원장을 만나 면담한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 교통난 해소를 위한 반가운 소식을 전했다. 그간 극심한 혼잡으로 주민 불편이 컸던 3324번 버스 노선의 혼잡도 완화를 위해 출근시간대 전용 신설노선 8333번이 12월 중 운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13일 서울시로부터 공식 보고를 받은 박 의원은 “오랜 기간 주민들이 겪어온 출근시간대 버스 혼잡 문제가 드디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며 “신설 노선이 강동구 주민들의 출근길을 한결 편안하게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맞춤버스 8333번은 오전 6시 40분부터 8시 05분까지 총 8회 운행되며, 암사역사공원역–고덕비즈벨리–강일동 구간을 단거리로 반복 운행한다. 출근시간대에 집중되는 승객을 분산시켜 기존 3324번의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간 3324번 버스는 평일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되며 강일동을 경유해 왔지만, 출근시간대 최대 혼잡도가 160%를 넘어서며 승객 불편과 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특히 고덕비즈벨리 기업 입주 증가와 유통판매시설 확대로 승차 수요가 급증하면서, 기존 노선만으로는 혼잡 완화가 어려운 상황이었다. 박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출근시간대 혼잡 해소 8333번 맞춤버스 운행 예고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