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접종 꺼리는 농민, 팔짱 낀 당국…구제역 발병 이유 있었네

백신접종 꺼리는 농민, 팔짱 낀 당국…구제역 발병 이유 있었네

입력 2017-02-08 09:23
수정 2017-02-08 09: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육질 떨어지고 유산·우유 감소…소·돼지 묶어 접종하는 것도 곤욕”당국 뒤늦게 접종 참관 추진에 농민 반발…“구제역 옮으면 책임질건가”

정부가 내놓은 전국 소 사육농가의 항체 형성률은 평균 97.5%이다. 구제역을 차단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충북 보은의 젓소 사육농가와 전북 정읍의 한우 농가에서는 구제역이 발병했다, 뒤늦게 확인한 두 농장의 항체 형성률은 각 19%, 5%에 그쳤다.

소의 항체 형성률이 80% 미만일 경우 구제역 감염 가능성이 커지는데, 이들 농가는 기준치를 한참이나 밑도는 것이다.

축산 농민들은 백신을 매뉴얼대로 제때 놨는데 항체 형성률이 극히 낮은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방역 당국은 고기 품질이 떨어지거나 착유율·증체율 저하를 우려한 부실한 백신 접종 등 모럴해저드에 빠진 농가에 책임이 있다고 목소리를 키웠다.

구제역 백신 접종이 축산농가 입장에서 달가운 것은 아니다. 접종 방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염증으로 인한 이상육이 생겨 고기 품질이 떨어지면서 수익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에서다. 우유 생산량이 감소하는 피해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구제역 접종 매뉴얼에 따르면 백신은 2∼8도의 온도에서 냉장 보관해야 하고 접종 때는 백신 온도를 18도 안팎으로 올려 주사해야 한다.

접종 부위는 목 근육인데, 주사기가 피부와 직각을 유지해야 하며 바늘이 근육으로 완전히 들어가게 한 뒤 주사해야 한다.

바늘이 덜 들어가거나 비스듬하게 꽂혀서는 안 된다. 백신이 근육이 아닌 지방층에서 뭉칠 경우 항체가 극히 낮게 형성되거나 염증이 생겨 이상육이 생길 수도 있다.

규정대로 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어려운데 현실은 더 복잡하다.

움직이지 못하도록 단단히 잡고 근육 부위에 천천히 주사한 후 충분히 문질러줘야 하는데 소나 돼지 역시 주사 맞는 것을 끔찍하게 싫어한다.

소·돼지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고정틀이 없는 축산 농가는 소·돼지를 밧줄로 묶어 못 움직이게 해야 하기 때문에 인부 없이는 백신 접종을 하는 게 사실상 어렵다.

소·돼지를 한 마리씩 접종하려면 이런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수백, 수천마리씩 사육하는 축산 농가에는 큰 부담이다.

게다가 접종을 잘못해 이상육이 생기면 고깃값이 떨어질 수 있고 착유량도 줄어든다고 한다. 사룟값에 비해 살이 덜 찌는 현상이 나타나는가 하면 새끼를 밴 소·돼지가 유산한다는 소문까지 있다.

농장주가 백신 접종을 꺼리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일 것으로 축산 방역당국은 분석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당국이 백신 접종을 일일이 대신해 주거나 현장에서 관리·감독하기는 어렵다.

소·돼지를 몇 마리씩 키우는 소규모 농가야 가축방역관이나 공수의사가 현장에서 접종해 주지만 소 50마리, 돼지 1천마리 이상 키우는 대규모 농가의 경우 접종 인력을 지원하는 게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읍·면·동 직원을 보내 접종이 제대로 이뤄지는지를 참관하는 방안을 검토하다가 인력 부족으로 포기한 지자체도 있다. 농장주들도 구제역 확산을 우려, 외부인 출입을 꺼리는 형편이다.

축산 방역 당국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백신 접종을 농장주에게 맡긴 뒤 나중에 백신 공병을 수거하며 접종 여부를 확인하는 것 외에는 없다.

방역 당국의 한 관계자는 “농장주들이 백신 접종을 기피한다고 해도 이들을 믿을 수밖에 없다”며 “항체 형성률을 점검하는 채혈 검사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백신을 놓지 않다가 출하 한 달 전 급하게 백신을 접종, 항체 형성률을 높이는 농장이 있다는 소문이 무성한 상황에서 인력 탓만 하다가는 구제역 확산을 막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