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에 구제역까지’…연천, 2011년 사태 재연에 망연자실

‘AI에 구제역까지’…연천, 2011년 사태 재연에 망연자실

입력 2017-02-08 15:42
수정 2017-02-08 15: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당시 농가 절반이 우제류 살처분…“피해 확산 막기 위해 총력”

경기도 연천군 축산농가들이 조류인플루엔자(AI) 발병에 이어 구제역까지 발생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AI와 구제역이 동시에 발병, 엄청난 피해를 본 2010∼2011년 상황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오전 10시 40분께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선곡리의 한 젖소 사육농장에서 젖소 10마리가 침 흘림, 수포 발생 등의 증상을 보여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간이검사 결과 양성 반응이 나왔다. 정밀검사 결과는 9일께 나올 예정이다.

아직 확진은 아니지만 해당농가에서 사육 중인 젖소 114마리는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에 들어갔다.

이 농가에서 반경 3㎞ 이내 방역대에는 19개 농가가 발굽이 2개인 소와 돼지 등 우제류 가축 529마리를 사육 중이어서 확산 우려를 낳고 있다.

앞서 연천군은 지난달 12일 연천읍 상리의 한 달걀을 생산하는 산란계 농가에서 H5N6형 고병원성 AI가 발병, 닭 8만5천 마리를 땅속에 묻었다.

이후 연천군에서 AI가 추가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AI는 전국적으로 여전히 진행형이다. AI가 종식되기도 전에 구제역이 발생한 것이다.

연천군 축산농가는 2010∼2011년 겨울 AI와 구제역이 동시에 발병,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

당시 AI는 피해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으나 구제역으로 엄청난 피해가 발생해 젖소, 한우, 돼지, 염소, 사슴 등 축종을 가리지 않고 농가 절반가량이 가축을 살처분하는 아픔을 겪었다.

연천군 관계자는 “AI 사태가 끝나기도 전에 구제역이 발생, 축산농가들이 망연자실한 상태”라며 “반경 3㎞ 이내에서 정밀예찰과 백신 보강접종을 하는 등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연천군에는 젖소 1만500마리(177농가), 한우 5천928마리(230농가), 돼지 10만5천마리(74농가), 염소 100마리(1농가), 산양 800마리(16농가), 사슴 85마리(4농가) 등 12만2천413마리(502농가)의 우제류 가축이 사육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