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검사 악몽 떨치고… 女선수로 리우서 뛴다

성별 검사 악몽 떨치고… 女선수로 리우서 뛴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16-06-26 22:36
수정 2016-06-26 23: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성 호르몬 과다 논란 인도 육상선수 ‘출전 가능’ 판결 후 올림픽 기준 충족

성별 검사 끝에 남성이란 판정이 내려져 여자 선수로 대회에 나설 수 없었던 인도의 스프린터(육상 단거리 선수) 두티 찬드(20)가 오는 8월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에 나선다.

두티 찬드. AFP 연합뉴스
두티 찬드. AFP 연합뉴스
찬드는 최근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열린 G 코사노프 메모리얼 육상대회 여자 100m 예선에서 11초30을 기록해 리우 출전 기준 기록을 충족시켰다고 영국 BBC가 26일 전했다. 그녀는 성별 검사 결과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검출치가 너무 높다는 이유로 2년 동안 여자 선수로 대회에 출전하지 못했다.

그러나 지난해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에 제소해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2011년 도입한 ‘안드로겐 과다혈증’(hyperandrogenism) 규정을 적용받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을 이끌어 낸 지 1년 만에 올림픽 기준 기록을 통과했다.

그녀는 “정말 기쁘다”면서 “힘겨운 시절들이었으며 힘든 노력들이 제대로 보상받아 정말 행복하다. 내가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기를 바란 모든 인도인에게 감사하고 싶다. 당신들의 기도가 제값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IAAF의 안드로겐 과다혈증 규정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육상 선수 캐스터 세메냐(25)가 성별 검사에 항거한 지 5년 만에 제정됐다. 당시 IAAF는 세메냐가 2009년 베를린세계육상선수권 여자 800m에서 우승한 뒤 논란이 일자 성별 검사를 의무화하고 여성 선수의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남성보다 적어야 한다는 규정(리터당 10나노몰)을 신설했다.

그는 2010년 7월 핀란드 지역 육상대회를 시작으로 같은 해 남아공올림픽 800m 은메달을 따는 등 꾸준히 국제대회에 얼굴을 내밀고 있다. 다섯 살 연상의 대표팀 여자 선배와 결혼했다는 소식이 들리기도 했다. 리우올림픽의 400m와 800m, 1500m 출전 기준 기록을 모두 통과한 세메냐는 400m와 800m에 동시에 나설 것이라는 세간의 추측에도 불구하고 아직 출전 종목을 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녀는 지난 주말 아프리카육상선수권에서 금메달 7개를 휩쓴 뒤 “둘 다 출전하고 싶기도 하지만 코치에게 달려 있다. 난 800m를 달리는 게 훨씬 편하다”고 말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6-06-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