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셧다운도 ‘분노한 老兵’ 못당해…국립참전비 개방

美셧다운도 ‘분노한 老兵’ 못당해…국립참전비 개방

입력 2013-10-03 00:00
수정 2013-10-03 03: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참전용사들 2차대전 기념비 등에서 항의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부 업무정지)으로 국립공원과 박물관, 기념관 등이 이틀째 문을 닫은 가운데 2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일부 공영시설이 개방됐다.

규정 위반임에도 불구하고 바리케이드가 치워진 곳은 링컨기념관과 워싱턴모뉴먼트 사이에 있는 2차 세계대전 국립기념비.

전날 전세기편으로 워싱턴DC에 도착한 미시시피주(州) 출신의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출입 통제된 기념비에 들이닥친 데 이어 이날 오전 다른 지역에서 온 노병들까지 가세해 항의 집회를 하면서 셧다운이 일시 해제된 것이다.

휠체어에 앉거나 지팡이를 짚고 나타난 수백명의 참전용사들은 이날 기념비 인근에서 시설 폐쇄 조치에 항의한 뒤 입장했으며, 일부 연방의회 의원들이 현장을 찾아 이들을 위로하고 격려했다.

특히 일부 참전용사들은 “닫을 필요가 있는 시설만 닫아야 할 게 아니냐”면서 셧다운으로 참전기념비가 폐쇄된 데 대해 분노를 표시하기도 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공원경찰은 “셧다운에 따른 규정 때문에 지방에서 온 나이 많은 참전용사들을 상대로 법 집행을 할 수는 없다”면서 “나도 참전용사 출신”이라고 말했다.

이곳을 관리하는 국립공원관리청(NPS)의 캐럴 존슨 대변인은 참전용사들의 기념비 출입이 일시 허용됐다고 확인한 뒤 수정헌법 1조가 보장하는 시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존슨 대변인은 그러면서 일반인들은 여전히 방문할 수 없으며, 내셔널몰에 있는 다른 전쟁기념비들도 폐쇄된 상태라고 밝혔다.

그러나 인근에 있는 베트남전 기념비와 한국전 기념공원 등에서도 참전용사들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고 현지 언론은 보도했다.

한국전 기념공원을 찾은 한 참전용사는 한 공원경찰이 나타나 시설이 일시 폐쇄됐다고 알렸으나 방문객들이 공원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도 못 본 척하면서 슬그머니 자리를 떴다고 전했다.

한편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워싱턴DC를 비롯한 전국의 국립공원 등에서 예정됐던 헌혈 행사, 문화공연, 결혼식 등이 모두 취소되면서 시민들의 항의가 잇따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서울시의회 정지웅 의원(서대문구1·국민의힘)이 북아현 3구역 재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관련법에 따라 건축심의부터 다시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북아현 3구역 재개발에 대한 건축심의 효력이 상실됐기 때문이다. 건축법 제11조 제10항에 따르면 건축심의 결과를 통지받은 날부터 2년 이내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지 않으면 건축심의는 효력을 상실한다. 조합은 2023년 7월 11일 건축심의 완료를 통지받았다. 조합은 건축심의 완료 이후인 2023년 11월 30일 서대문구에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신청했으나, 서대문구는 올해 5월 20일 조합에 이를 반려 통보했다. 서대문구는 사업시행계획서에 기재된 사업 기간이 총회 결의와 상이한 점을 문제로 봤다. 조합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가 반려되자 건축심의 유효기간 등 법적 검토를 하지 않고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서대문구청의 반려 결정을 취소하고 인가 처분을 해달라는 취지였다. 그러나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는 최종적으로 서대문구의 반려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다. 정비 업계에 따르면 조합 측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다시 신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 의원은 현행법상 북아현 3구역 재개발의 건축
thumbnail -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